뉴스레터

[위클리 포커스] 트럼프 2기 인도-태평양 전략과 한국의 대응 외

  • 2025-04-24

202412월 첫째주

[EAI-Brookings 컨퍼런스]

“트럼프 2기 미국 동맹, 파트너십,

그리고 인태지역 질서의 미래” 주요 논의 내용

동아시아연구원(EAI)은 11월 22일(금) 미국 브루킹스 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와 공동으로 개최한 "미 대선 이후 동맹, 파트너십, 그리고 인도-태평양 지역 질서의 미래(The Future of Alliances, Partnerships, and the Indo-Pacific Regional Order)" 컨퍼런스의 주요 논의 내용을 정리하여 공개합니다. 한국과 미국의 전문가 11인은 트럼프 행정부 하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후퇴 가능성과 이에 대한 한국 및 지역 내 중견국들의 대응 방향을 논의하고, 다자주의 촉진 및 규칙 기반 질서 강화를 위해 중견국들이 연대하여 질서 안정자(stabilizer)로서 기능할 것을 제언합니다.

[Global NK 인터뷰] 트럼프의 귀환이 세계에 미칠 영향(영문)

앤드류 여(Andrew Yeo) 브루킹스 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 한국 석좌(미국 가톨릭대 교수)는 미국 공화당 내 영향력 있는 상하원 의원들이 동맹 네트워크를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을 고려할 때, 동맹에 대해서도 거래적 태도를 취하고 있는 트럼프의 접근 방식이 다음 행정부의 대외정책 방향을 압도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아울러 트럼프가 강조하는 힘에 의한 평화레토릭과 고립주의담론은 내용상 본질적으로 모순되며, 이러한 역설이 차기 행정부 대외정책 방향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떨어뜨려 동맹국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다만, 트럼프가 최근 발표한 내각 인선에 대중 강경파 인사들이 대거 지명된 것을 고려할 때, 인도-태평양 지역에서는 강한 대중국 견제를 위해 바이든 행정부 때처럼 동맹국들과의 협력을 일관되게 추진해 나갈 것으로 전망합니다.

[ADRN 이슈브리핑] 중동 전쟁 속 유지된 시민들의 민주주의 신뢰(영문)

황민화(Min-Hua Huang) 국립대만대 교수와 신성이(Seng-Yee Sin) 국립대만대 정치학 석사는 이스라엘-하마스 분쟁이 중동 지역 시민들의 민주주의 인식에 미친 영향을 여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합니다. 저자들은 역내 긴장이 지속되었음에도 민주적 정치를 향한 대중의 열망은 꺾이지 않았다고 진단합니다. 그러나 점차 고조되는 반미 감정이 정치적으로 동원되어 민주주의 지지 세력과 반대 세력 간 분열을 심화할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시민들과 국제사회가 역내 민주적 가치와 제도를 증진하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EAST ASIA INSTITUTE 
03028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7길 1
Tel 82 2 2277 1683  |  Fax 82 2 2277 1684 | Email EAI
Copyright 2024 © EAST ASIA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