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6월호
  EAI 여론브리핑 제98호
여론분석센터(소장 : 이내영)는 EAI·YTN·중앙일보·한국리서치 공동 기획 5월 여론바로미터 조사 결과를 분석한 [EAI 여론브리핑] 제98호를 지난 5월 30일에 발간하였습니다. 이번 조사결과 4·27 재보궐 선거 이후 급상승한 민주당 지지율의 상승세가 주춤하고(30%),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34.9%)과 한나라당에 대한 지지율(36.4%)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집계되어 한나라당과 민주당 간 정당 지지율 격차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재보궐 선거 이후 민심을 얻기 위한 양당의 개혁경쟁에 대해서는 과반수 이상의 응답자가 한나라당(67.2%)이나 민주당(67.6%) 모두 달라진 점이 없다는 냉담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북한 2032》,《세계화 제2막》2011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EAI에서 발행한 두 권의 단행본 《북한 2032 : 선진화로 가는 공진전략》 (하영선ㆍ조동호 공편), 《세계화 제2막 : 한국형 세계화의 새 구상》 (이숙종ㆍ장훈 공편)이 2011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습니다.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된 두 권의 도서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정책에 따라 공공도서관, 해외문화원, 병영도서관 등에 보급될 예정입니다.

EAI Focus
 
EAI Publications
[회의록] 동일본 대재난사태 현장보고 : 현황과 교훈

[동영상] 동일본 대재난사태 현장보고 인프라비전 : 현대일본학회 일본 지진 답사 보고
 
EAI 단행본
일본과 동아시아 : 지역협력과 공동체 구상
한상일·이숙종 공편

중국의 미래를 말하다 : 글로벌 슈퍼파워의 가능성과 전망
이동률 편

The Park Chung Hee Era: The Transformation of South Korea
김병국 · 에즈라 보겔(Ezra F. Vogel) 공편

Public Diplomacy and Soft Power in East Asia
이숙종 · 얀 멜리슨(Jan Melissen) 공편



EAI News
EAI 중문 웹사이트 개설
 
6월 9일 EAI 중문 웹사이트가 개설됩니다. EAI는 중문 웹사이트를 통해 연구원의 활동 및 성과물들에 대한 해외 독자들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자 합니다.
[EAI 오피니언리뷰] "중산층의 선택" 및 "30대의 정치행태 분석" 발행
여론분석센터는 5월 10일 [EAI 오피니언리뷰] 제3호, "4·27 재보궐 선거와 중산층의 선택"과 제4호, "안티 한나라당 세대, 30대의 정치행태 분석"을 발간하였습니다. 정한울 여론분석센터 부소장은 본 보고서를 통해 4·27 재보선 이변을 통해 정부에 대한 불신 및 정치에 대한 불만 여론의 근원지로 부각된 중산층 및 중도층에 주목해야 함을 강조하고, 불만(不滿)·불안(不安)·불신(不信)의 3불(不) 세대로 요약되는 30대의 정치 형태에 대해 분석하였습니다. 아울러 향후 대선 정국에서 중산층과 중도층의 지지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미래에 대한 비전 제시 및 국정역량 입증은 물론, 이들 비판 세력들의 정치 불신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경쟁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언론보도] "봤지, 정치 똑바로 해" 중산층 분노 폭발_주간동아
[언론보도] 한나라 압승한 선거도 30대 표심은 '野性' 강해_중앙선데이
[EAI 논평] "중동의 자스민 혁명과 중국의 민주화" 발행
제19호 EAI 논평, "중동의 자스민 혁명과 중국의 민주화"가 발행되었습니다. 김영진 교수(국민대)가 집필한 이번 논평은 중동에서 일어난 민주화 시위에 대한 중국 내 반응 및 중국 내 민주화 운동 상황을 살펴보고 향후 중국 민주화의 가능성을 전망하였습니다. 논평은 현재로서는 중국 시민사회 역량의 한계로 인해 당에 의한 위로부터의 제한적 민주주의 개혁이 시도될 수 밖에 없고, 이 같은 제한적 개혁은 향후 정치적 혼란과 분열을 야기할 수도 있다고 전망하였습니다.
[EAI 워킹페이퍼] EAI·아시아재단 공동 컨퍼런스 "국내 이해당사자와 한미동맹" 관련 워킹페이퍼 발행
아시아안보연구센터(소장 전재성)가 2010년 2월 아시아재단 한미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개최한 "Domestic Stakeholders on the U.S.-ROK Alliance" 컨퍼런스의 최종 결과물이 세 편의 워킹페이퍼로 발간되었습니다. 신기욱 교수(Stanford University)는 "The Media and the U.S.-ROK Alliance: The South Korean Case"에서 한미동맹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력과 역할을, 모종린 교수(연세대)는 "Grassroots Influences on the U.S.-ROK Alliance: The Role of Civil Society"에서 한미동맹의 발전을 위한 시민사회의 역할을, 김치욱 박사(세종연구소)는 "South Korea's Business Sectors and Transformation of ROKUS Alliance: A Case Study of KORUS FTA"에서 한미 FTA 사례를 중심으로 한미동맹에 있어 한국 기업의 역할을 분석하였습니다.
[EAI 워킹페이퍼] "Foreign Direct Investments and the Use of Economic Sanctions" 발행
아시아안보연구센터는 제13호 EAI 워킹페이퍼, "Coercive Assets? Foreign Direct Investments and the Use of Economic Sanctions"를 발행하였습니다. 김동훈 교수(고려대)가 집필한 이번 워킹페이퍼는 해외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 FDI)가 경제제재 조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본 워킹페이퍼는 FDI로 인해 형성되는 경제적 상호의존이 반드시 해당 국가에 대한 경제제재 조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인 FDI의 투자형태에 따라 상이한 효과를 발생시킨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UCR 공식성명일지] 2011년 3월, 2011년 4월호 발행
아시아안보연구센터는 [UCR 공식성명일지] 2011년 3월호4월호를 발행하였습니다. 이번 일지에서는 '아랍의 봄'으로 상징되는 중동 민주화 운동에 관한 미중간의 시각 차이를 포함하여 북한문제, 대만문제, 미중 군사협력 및 경제협력에 관하여 지난 2011년 3월부터 4월까지 미중이 발표한 공식성명들을 정리하였습니다.
Tiberghien 교수 및 Yeo 교수 초청 EAI 펠로우십 전문가 세미나 개최
EAI는 2011 펠로우십 프로그램의 첫 번째 방문자인 Yves Tiberghien 교수(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를 모시고 "East Asian Politics and the Great G20 Game: Convergence and Divergence in Chines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를 주제로 6월 7일 전문가 세미나를 개최하였습니다. 오는 6월 13일에는 Andrew Yeo 교수(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를 초청하여 "Institutions, Political Order, and the Rise of a Northeast Asian Community"를 주제로 두 번째 전문가 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Yves Tiberghien 전문가 세미나] [Andrew Yeo 전문가 세미나]
2011-2012년 EAI 펠로우십 프로그램 선발 공고
2011-2012년 EAI 펠로우십 프로그램을 위한 펠로우즈를 선발합니다. EAI 펠로우십 프로그램은 대만의 장경국재단, 일본국제교류기금, 그리고 한국의 교육기관 YBM/KIS의 후원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매년 5명 내외의 북미를 비롯한 전세계 비아시아권 동아시아 전공 중견학자들을 선발하여 서울, 도쿄, 타이페이, 베이징, 상하이 등지에서 전문가세미나 및 학생강연회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최종 선발 결과는 2011년 10월에 공지될 예정입니다.
100-786 서울시 중구 을지로 4가 310-68 삼풍빌딩 909호   Tel 02-2277-1683   Fax 02-2277-1684/1697
Copyright 2009© EAST ASIA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Email EAI  |  수신거부  | 

Major Project

Keywords

#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