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첫째주

[Global NK 논평]

트럼프 2기 정부의 북미 정상회담의 가능성과 향후 과제

전재성 EAI 국가안보연구센터 소장(서울대 교수)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 정책 방향과 북한의 대응 전략을 분석하고, 북미 정상회담이 다시 추진될 가능성과 그 외교적 의미 및 한국의 대응 방안을 논의합니다. 저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국내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북미 정상회담을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제한을 중심으로 한 ‘스몰 딜’이 이뤄질 가능성을 경계합니다. 전 소장은 이러한 북미 협상이 한국의 전략적 입지를 약화시킬 가능성에 유의하여, 한국이 미국의 안보 이익과 조화를 이루는 대북 정책 논리를 시급히 마련할 것을 제언합니다.

[ADRN 이슈브리핑] ‘2024년 선거의 해’에 드러난 남아시아 민주주의 현황(영문)

니란잔 사후(Niranjan Sahoo) 옵저버연구재단(Observer Research Foundation: ORF) 시니어 펠로우와 암바 쿠마 고쉬(Ambar Kumar Gosh) ORF 연구원은 2024년 선거를 치른 남아시아 6개국의 선거 이후 민주주의 현황을 평가합니다. 저자들은 여성 및 청년의 정치 참여 증가, 시위 및 선거를 통한 권위주의 세력의 퇴진과 야당의 약진을 성과로 꼽으며 역내 민주주의에 대한 조심스러운 낙관적 전망을 제시합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정치 폭력의 증가와 선거 무결성(electoral integrity)에 대한 침해, 권위주의 국가의 허위 정보 유포와 선거 개입 등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요인이 여전히 남아 있다고 지적합니다.

[EAI-API 컨퍼런스] 한일협력 2050: 미래세대의 공통과제 해결

동아시아연구원(EAI)과 일본 아시아퍼시픽이니셔티브(API)는 한국국제교류재단(KF)의 후원으로 1 17() 코트야드 메리어트 서울 남대문에서 “한일협력 2050: 미래세대의 공통과제 해결” 컨퍼런스를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안보, 경제, 기술, 환경 분야 전문가 13인이 2050년을 대비한 지속가능한 한일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핵무기, 인공지능, 기후변화, 인구감소, 지방소멸 등 미래세대의 삶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초국적 이슈를 중심으로 한일 협력의 청사진을 제시하였습니다. 컨퍼런스 세션별 영상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EAST ASIA INSTITUTE 
03028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7길 1
Tel 82 2 2277 1683  |  Fax 82 2 2277 1684 | Email EAI
Copyright 2025 © EAST ASIA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수신거부 Unsubscribe

Major Project

Keywords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