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위클리 포커스] 2025년 한국 국민의 한일관계 인식, 블록화 인식과 핵무장 지지여론 외

  • 2025-07-17

20256월 넷째주

[EAI 이슈브리핑]

한일관계, 역사문제 해결보다 미래지향적 협력을 원한다:

2025 EAI 동아시아 인식조사 결과 분석

손열 동아시아연구원(EAI) 원장(연세대 교수)은 2025년 동아시아 인식조사에서 나타난 한국 국민의 대일 여론 개선 흐름의 원동력을 분석하고, 신정부의 대일 외교 과제를 제시합니다. 손 원장은 청년 세대의 문화 교류가 대일 호감도 상승을 견인하였고, 중국 의존에 대한 두려움 및 미국 쇠퇴에 따른 신뢰 저하 등 강화된 위협 인식이 일본의 전략적 가치를 재평가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설명합니다. 저자는 이재명 정부가 이러한 국민적 여론에 힘입어 미중 과잉 의존 리스크 대응 등 공통의 협력 과제를 모색하는 한편, 한일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국내 정치의 양극화 문제를 관리하는 정치력을 발휘할 것을 제언합니다.

[EAI 이슈브리핑] 한국인의 한미일-북중러 블록화 인식과 핵무장 지지 여론 분석: 2025 EAI 동아시아 인식조사 결과 분석

김양규 국방대 교수와 오인환 EAI 수석연구원은 2025년 동아시아 인식조사 결과를 토대로 미중 경쟁 가운데 강화된 한국인의 블록화 인식과 자체 핵무장 지지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합니다. 김 교수와 오 연구원은 한미일 대 북중러 블록화에 대한 인식이 작년보다 더 상승한 자체 핵무장 지지율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고 설명합니다. 저자들은 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블록화 담론이 힘을 얻을수록 이미 높은 수준에 도달한 핵무장 지지 여론이 과열될 수 있음을 지적하며, 이재명 정부가 21세기 미중 경쟁 구도를 보다 정교한 정책 언어로 설명하여 핵무장 여론을 자극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제언합니다.

[EAI-KIEP 컨퍼런스] 한일 국교정상화 60년과 미래지향적 발전 방향

EAI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6월 18일(수), “한일 국교정상화 60년과 미래지향적 발전 방향”을 주제로 한일 국제 컨퍼런스를 공동 개최하였습니다.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하여 마련된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작년 10월과 올해 6월 양국에서 각각 새로운 리더십이 출범한 가운데, 미중 전략 경쟁의 심화, 기후변화 대응, 디지털 전환 및 AI 확산 등 글로벌 대전환의 흐름 속에서 한일 양국의 미래지향적 관계 구축을 위한 비전과 과제를 폭넓게 논의하였습니다.

[Global NK 스페셜리포트] 트럼프 2기의 북핵문제와 한국의 핵옵션

EAI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이 야기한 동맹구조의 재편과 핵질서의 불안정을 진단하고이에 대응하는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트럼프 2기 북핵문제와 한국의 핵옵션」 스페셜리포트 시리즈를 발간합니다. 확장억제의 신뢰 약화, 북한의 공세적 핵전략의 제도화, 국제 비확산 체제 내 차등적 신뢰 구조, 그리고 ‘제3핵시대’로의 진입이라는 구조적 위협은 기존 억지 패러다임을 넘어선 다층적·융합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본 시리즈는 전술핵 재배치 및 핵 공유 구상자율적 억지 역량 확보핵확산과 외교적 정당성 간의 균형위기관리 체계의 고도화 등 핵심 전략 이슈를 중심으로 실질적인 대응 로드맵을 제시합니다.

 

  • 함형필, ① "트럼프 동맹정책과 확장억제의 미래" [보고서 읽기]
  • 전봉근, ② "한국 핵무장 옵션의 손익계산과 민수용 농축재처리 요구" [보고서 읽기]
  • 손한별, ③ "북한의 핵고도화평가와 전망" [보고서 읽기]
  • 김태형, ④ "인도-파키스탄 핵대결 사례가 한국의 핵무장 논쟁에 던지는 교훈" [보고서 읽기]
EAST ASIA INSTITUTE 
03028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7길 1
Tel 82 2 2277 1683  |  Fax 82 2 2277 1684 | Email EAI
Copyright 2025 © EAST ASIA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수신거부 Un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