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AI-ADN 공동주최 “Empowering Community of Democracies” 국제회의
EAI는 11월 24일-25일 아시아민주주의네트워크(Asia Democracy Network: ADN)와 공동으로 “Empowering Community of Democracies” 국제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외교부의 후원으로 진행된 본 회의에서는 2015년 7월 엘살바도르에서 열릴 제9차 민주주의공동체 각료회의 및 부속 시민사회회의의 의제를 점검하고 민주주의공동체 개혁 및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
[중견국외교 이니셔티브 연구보고서] 제7·8호 발행
구민교 교수(서울대)가 집필한 “East Asian Maritime Disputes and South Korea’s Middle Power Diplomacy”는 중국의 공격적인 해양정책이 미국을 자극했고, 중국과 주변국간 심화되는 영유권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국이 미국, 중국, 일본 사이에서 안전 메커니즘(safety mechanism)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손열 EAI 일본연구센터 소장(연세대 교수)이 집필한 “The Role of South Korea in the Making of a Regional Trade Architecture: Convening, Bridging, and Designing FTA Networks”는 아시아지역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 간의 갈등으로 인해 한국의 “글로벌 FTA 허브” 전략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으며, 동아시아 다자주의 무역질서를 형성하기 위해서 무역 아키텍처의 과잉안보화(over-securitization)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
[미중관계 공식성명일지] 2014년 10월
이번 호는 이슬람국가(IS) 테러위협, 에볼라 바이러스 확산, 미국의 대 베트남 무기 수출, 기후변화, 사이버안보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양국 성명을 정리했습니다.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미래에 중요한 결정요인인 미중관계의 현주소 및 미래를 추적하고자 EAI는 각종 현안들에 대한 미중 양국의 공식성명을 비교 정리한 “미중관계 공식성명일지”를 발행해 오고 있습니다.
|
[2014 한반도국제포럼] EAI-유럽정책연구소 공동 포럼
통일부 〈2014 한반도국제포럼〉 대행 기관으로 선정된 EAI는 10월 31일 벨기에 브뤼셀 소재 유럽정책연구소(Center for European Policy Studies: CEPS)에서 한-EU 전문가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동아시아 지역질서 변환과 한반도: 유럽의 한반도 통일 인식”을 주제로 열린 이번 회의에는 20여 명의 한국 및 유럽 전문가들이 “한반도 정세와 한-EU 협력방안”, “북한 내 인도주의 문제와 해결 방안”, 그리고 “통합과 통일: 유럽 및 독일의 경험과 동아시아, 그리고 한반도”를 주제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
[행사일정] 조셉나이 교수 초청 특별 강연회
EAI는 12월 10일(수) 한국고등교육재단(Korea Foundation for Advanced Studies : KFAS)과 공동으로 하버드대 조셉 나이 교수를 초청하여 "Is the American Century Over?"라는 주제로 특별 강연회를 개최합니다.
|
100-786 서울시 중구 을지로 158, 909호 (을지로4가, 삼풍빌딩)
| 전화 02-2277-1683 팩스 02-2277-1684
Copyright 2014© EAST ASIA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Email EAI | 수신거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