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처럼 여론조사로만 결정하나
조사방식·문항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져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후보 간 단일화 방식으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여론조사 방식에 대해서는 전문가들도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2002년 대선 때 여론조사만으로 노무현-정몽준 후보의 단일화 경쟁 승자를 결정한 것은 세계적으로 유례 없는 일로, 단일화 의미뿐 아니라 민주주의 과정 자체를 퇴색시킬 수 있다는 목소리가 높다.
우선 조사방법상으로 여론조사의 한계가 뚜렷하다. 조사방식이나 설문 문항 등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질 여지가 많지만 경쟁 후보 측이 모두 동의할 수 있는 합리적 기준이 있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최근 대선 여론조사만 봐도 집전화 대상, 휴대폰 대상, 또는 두 가지를 섞는 방안 등의 다양한 조사 방식에 따라 여론조사 결과도 판이하게 나오지만 어느 방식이 정확한 여론을 반영하는지 알 수 있는 과학적 근거는 없다.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여론조사 방법 자체가 대단히 불안정하다"며 "또 오차범위 내 차이는 아무 의미가 없는데도, 이 정도의 차이로 단일화 승부를 결정할 경우 과학적으로는 논란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여론조사 응답자가 적극적으로 정치적 의사를 표현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여론조사에 의존해 정치적 대표를 뽑는 것은 민주주의를 왜곡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정한울 동아시아연구원 부소장은 "후보 선출은 유권자가 자신의 권력을 위임하는 과정인데, 여론조사는 무작위로 표본에 선정된 사람들이 수동적으로 응답하는 것이어서 정치적 대의 과정으로 보기가 어렵다"며 "여론조사가 민주주의 제도를 보완할 수는 있어도 이를 대체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실제 이 같은 여론조사만의 단일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 때문에 2002년 단일화 당시 주요 여론조사기관들이 단일화 조사를 거부하기도 했다. 노 후보 측과 정 후보 측은 당초 3개 여론조사기관을 선정하려고 했으나 조사기관 선정에 난항을 겪어 결국 2곳만 선정했다.
외국에서도 여론조사만으로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사례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여론조사를 일정 비율로 반영하는 경우는 있어도 여론조사만으로 후보를 선출하는 곳은 어디에도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