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비준동의안을 강행처리한 이후 박근혜 전 대표의 지지율이 급격하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와 YTN, 동아시아연구원(EAI)이 지난 26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기 여론조사 결과, 안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은 50.1%의 지지율로 박 전 대표(38.4%)를 11.7%포인트 앞섰다.
반면 차기 대선 후보 다자 대결에서는 박 전 대표(29.8%)가 안 원장(27.3%)을 앞지르고 오차범위 내에서 1위를 지켰다.
안 원장과 박 전 대표의 지지율 격차가 커진 이유는 40대 연령층과 자신을 '중도'라고 밝힌 이들이 안 원장을 지지하는 현상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40대의 경우 10월 조사에선 박 전 대표(45.7%)와 안 원장(46.3%)의 지지율이 비슷했으나 이번에는 33.4%(박 전 대표) 대 54.3%(안 원장)로 격차가 확대됐다.
중도층에서도 10월엔 박 전 대표 대 안 원장의 지지율이 44.5% 대 44.2%로 비슷했으나 이번엔 34.1%(박 전 대표) 대 51.8%(안 원장)로 벌어졌다.
한·미 FTA 비준안 통과와 관련해선 이번 조사에서 '국익에 도움이 될 것'(41.9%)이란 여론이 '손해일 것'(37.8%)이란 여론보다 다소 높았다. '모름·무응답'은 20.3%였다.
하지만 박희태 국회의장의 직권상정을 통한 한나라당의 기습 처리에 대해선 '잘못한 일'(51.3%)이란 평가가 '잘한 일'(25.8%)이란 응답보다 2배 정도 많았다. 모름·무응답은 22.9%였다.
비준안 처리 이후 정부와 정치권이 해야 할 일을 묻는 질문에는 절반 이상이 '피해 부문에 대한 대책 마련'(54.9%)을 꼽았고, 다음은 '투자자·국가 소송제도(ISD) 재협상'(20.5%), '전면 무효화'(10.1%) 순이었다.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은 지난달(36.3%)과 비슷한 37.1%로 조사됐다. 한나라당 지지율 역시 35.8%(10월)에서 34.4%로 큰 변화가 없었다.
야권에선 민주당 지지율이 27.9%에서 25.1%로 다소 하락한 대신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진보신당 탈당파로 구성된 진보 소통합 정당이 10.5%의 지지율을 얻었다.
한편 한나라당·민주당 등 기존 정당 외에 '제3의 정당이 필요하느냐'란 질문에 '필요하다'는 응답은 44.2%(9월), 47.8%(10월)에 이어 이번 조사에서 51.3%로 높아졌다.
이번 조사의 표본은 성·연령·지역별 인구 비례에 따른 할당추출법으로 정했고 집전화 RDD(임의번호 걸기)와 컴퓨터를 이용한 면접 방식으로 진행했다. 최대 허용 오차범위는 95% 신뢰 수준에서 ±3.5%포인트, 응답률은 11.4%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