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실시되는 무상급식 주민투표의 최대 관심사는 역시 '투표율 33.3%를 넘길 수 있을까' 하는 문제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투표율이 개표기준인 33.3%에 미치지 못할 경우 시장직을 사퇴하겠다는 뜻을 밝혔고,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각각 중앙당 차원에서 투표참여와 투표거부 운동에 ‘올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번 투표율이 오 시장의 생사는 물론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와 손학규 민주당 대표의 운명까지 좌우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그러면 과연 오시장과 한나라당 지도부가 목표하는 투표율 33.3%는 실현 가능한 것일까?
일단 최근 각종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무상급식 주민투표에 대한 적극적 투표 의사층이 이같은 목표치를 대체로 넘어선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실제 지난 22일 발표된 중앙일보·YTN·동아시아연구원 여론조사(한국리서치 20일 조사)에서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적극적 투표층은 무려 38.3%에 달했다.
앞서 지난 17일 동아일보·코리아리서치 조사에서도 적극 투표층은 37%였고, 지난달 25일 조선일보·미디어리서치 조사 역시 34.6%로 33.3%를 넘겼다.
다만 리얼미터가 지난 19일 조사한 결과는 적극적 투표 층이 32.7%로 33.3%에 미치지 못했다.
하지만 그 격차는 오차범위 이내였다. 게다가 오 시장이 투표율과 시장직을 연계한지 하루 만인 22일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사람은 33.1%로 늘어났다. '가급적 투표하겠다'고 응답한 사람도 35.1%나 됐다.
특히 한나라당 여의도연구소 자체조사에서도 오 시장이 시장직을 건 뒤로 적극 투표 의향층이 3~4%포인트 정도 올라간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따라서 이 같은 여론조사만 보면 투표율이 33.3%를 넘어서는 것은 무리한 목표가 아닌 것처럼 보인다.
조선일보와 연합뉴스 등이 최근 ‘예상 투표율 35%’라는 보도를 내보내기도 했다.
어쩌면 오 시장도 이런 여론조사 결과를 믿고 시장직을 연계하는 초강수를 두었는지 모른다.
하지만 그것은 오산이다. 적극 투표의향층이 실제 투표장에 나타난다는 보장은 그 어디에도 없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4.27 재보궐선거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유권자 8811명을 상대로 투표참여 의사를 조사한 결과, 적극적 투표의사는 64.1%나 됐지만, 실제 투표율은 39.4%에 그쳤다.
손학규 민주당 대표와 강재섭 전 한나라당 대표의 맞대결로 전 국민의 이목이 쏠렸던 분당을 여론조사 역시 68.1%가 "반드시 투표하겠다"고 응답 했지만 실제 투표율은 49.1%에 불과했다.
즉 적극 투표의향층의 2/3 정도만 직접 현장에서 투표한다는 뜻이다.
역대 서울시내에서 이뤄진 각종 투표율을 보아도 33.3%는 쉽지 않은 목표다.
물론 지난 2008년 4월에 실시된 제18대 국회의원선거의 서울시 전체 투표율은 45.8%로 상당히 높은 편이었다.
하지만 총선거일은 공휴일이다. 반면 주민투표는 각종 재보궐선거처럼 평일에 실시된다.
따라서 서울에서 있었던 각종 재보궐선거와 비교하는 게 타당할 것이다.
그러면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이후 서울지역의 재보궐선거 투표율은 어느 정도나 될까?
지난 2008년 6월 4일 강동구청장 보궐선거 당시 투표율은 23.4%에 그쳤다. 다른 선거들 대부분 10%대~20%대를 오르내리는 정도였다. 그나마 올해 4월에 실시된 중구청장 보궐선거가 유일하게 30%를 넘겼으나, 주민투표 개표요건인 33.3%에는 미치지 못하는 31.4%를 기록했다.
특히 지난 5일부터 9일까지 닷새동안 실시된 무상급식 주민투표 부재자신고 접수 결과는 더욱 참담하다.
총 유권자 836만여 명 중 부재자 신고자는 10만2831명으로 1.2%에 불과하다.
최근 5년간 실시된 서울지역 주요 선거 투표결과 가장 낮은 참여율이다.
투표율이 15.48%에 그쳤던 2007년 교육감선거 부재자 신고율 1.5%에도 못 미치는 것이다.
이런 점들을 감안한다면, 오시장의 ‘시장직 사퇴’라는 배수진에도 불구하고 투표율은 25% 안팎에 그칠 것이라는 게 필자의 판단이다.
이렇게 빤하게 예견된 투표율에 스스로 목을 맨 오 시장과 한나라당 지도부의 신세가 가엽기 그지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