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표율 낮아 투표성립 안되면 다수의 民意 꺾이는 것"
투표율 반전 돌파구 찾아 박 前대표만 바라보는 상황
한나라당은 22일 이틀 앞으로 다가온 서울시의 무상급식 주민투표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여전히 투표함 개봉 요건인 33.3%의 투표율을 넘기기가 만만치 않다는 얘기가 나온다.
◆"주민투표 무산되면 민의 왜곡"
지난 20일 언론사 2곳과 동아시아연구원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한 여론조사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의 '단계적 무상급식'에 찬성한 응답자는 53.2%로 '전면 무상급식'에 찬성한 38.1%보다 15.1%포인트가 높았다. 지난 13~14일 코리아리서치센터가 실시한 여론조사의 경우, '단계적 무상급식'은 58%, '전면적 무상급식'은 35%로 나타났다. 지난달 23일 본지와 미디어리서치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단계적 무상급식 지지가 58.8%, 전면적 무상급식이 39.1%였다. 하지만 각 여론조사에서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응답자는 모두 30%대였으며 적극 투표층의 70~80%가 실제로 투표장에 나오는 것을 감안하면 투표율 33.3%를 넘기기는 쉽지 않다는 분석이 많다.
▲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왼쪽)가 22일 최고위원 회의에 앞서 서울시의 무상급식 주민투표 문제 등 안건을 검토하고 있다. 무상급식 주민투표에 부정적이었던 유승민 최고위원(오른쪽)은 굳은 표정이다. /조인원 기자
한나라당 관계자들은 이에 대해 "최근 각종 여론조사를 보면 단계적 무상급식에 찬성하는 서울시민의 비율이 전면 무상급식을 원하는 비율보다 훨씬 높다. 그런데도 투표율 저조로 주민투표가 성립되지 않는다면 결국 다수의 민의(民意)가, 투표장에 나오지 않은 상대적 소수에 꺾이는 결과가 벌어지는 것"이라고 했다. 여권 관계자들은 "만약 투표율이 33.3%에 미달해 주민투표가 성립이 안 된다면 내용에서는 이기고 (주민투표) 절차 때문에 지게 되는 셈"이라며 "솔직히 이를 승복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한나라 "총력 기울이겠다"
비공개로 진행된 이날 최고위원회의는 전날과 달리 차분한 분위기에서 진행됐다고 한다. 그간 무상급식 주민투표에 반대해온 남경필 최고위원은 "시장직 연계는 바람직하지 않지만 도와줘야 한다"고 했고, 친박계 유승민 최고위원은 침묵을 지킨 것으로 전해졌다.
한나라당의 기본 전략은 '오전 10시 전에 투표율 20%를 넘긴다'는 이른바 '1020 전략'이다. 초반에 투표율이 올라가면 위기감을 느낀 야권 지지자들이 전면 무상급식 찬성에 표를 던지기 위해 투표장에 나오게 되고 결과적으로 개표에 필요한 투표율 33.3%를 넘길 수 있다는 것이다.
오 시장 측과 여권 일각에서는 박근혜 전 대표에 기대를 걸기도 했다. "박 전 대표가 내일(23일) 본회의에 출석하면서 뭔가 얘기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정현 의원은 "아직 박 전 대표가 추가 입장을 내놓을 계획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다만 친박의 한 중진은 "그렇다고 이번 투표에서 박 전 대표가 나 몰라라 할 수도 없는 노릇 아니냐"며 고민스러운 분위기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