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적극 투표층과 실제 득표율 ‘20~30%P 격차’

  • 2011-08-22
  • 조현철기자 (경향신문)
오세훈 서울시장(50)이 사선을 넘을 수 있을까. 오 시장이 무상급식 주민투표를 시장직과 연계하면서, 투표율이 관심사가 됐다.

 

오 시장이 시장직 사퇴의 기준으로 내건 투표율은 33.3%다. 최근 발표된 여론조사 결과에서는 이를 넘고 있다. 22일 발표된 중앙일보·YTN·동아시아연구원 여론조사(한국리서치 20일 조사)에서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적극적 투표층은 38.3%였다. 17일 동아일보·코리아리서치 조사에서는 적극 투표층이 37%였다. 지난달 25일 조선일보·미디어리서치 조사에서는 34.6%였다.

 

하지만, 발표된 투표율과 실제 투표율에는 그간 늘 차이가 있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4·27 재보궐선거를 열흘 앞두고 유권자 8811명을 상대로 투표참여 의사를 조사했다. 적극적 투표의사는 64.1%로 집계됐다. 그러나 실제 투표율은 39.4%였다. ‘빅 매치’였던 분당을은 여론조사에서 68.1%가 “반드시 투표를 하겠다”고 했지만 49.1%가 투표했다. 당시 서울 중구청장 선거에선 실제 투표율(31.4%)이 여론조사의 투표 확실층 비율(66.0%)의 절반을 밑돌았다.

 

여론조사 응답자들이 “투표하겠느냐”는 윤리적·당위적인 질문에 긍정적으로 답하는 속성이 반영돼 실제 행위와 차이가 나는 허수효과가 발생하는 것이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이 차이를 20~30%포인트까지 보고 있다.

 

특히 민주당 등 야당들이 불참운동을 진행해 반쪽 선거가 됐다. 정치적 주목도와 유권자 체감도가 떨어지는 급식문제로 한정된 투표라는 점에서 투표장으로 나가게 할 동인이 약하다고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평일에 치러지는 주민투표 날짜도 변수다. 한나라당 이재오, 민주당 장상 후보가 대결한 2010년 7월28일(수요일) 서울 은평을 보궐선거는 양 당이 강하게 맞붙은 전투였지만 투표율은 34.1%였다. 2008년 첫 교육감선거도 무상급식 주민투표와 성격이 가장 흡사하지만, 당시 투표율은 15.4%였다.

 

물론 투표율 반등을 이끌 변수도 있다. 오 시장의 충격 선언으로 보수층과 지지층을 결집하는 계기는 만들어졌다. 진보와 보수가 정치색을 드러내면서 힘겨루기를 하는 ‘큰 선거’가 됐다. 주민투표로부터 일정 정도 거리를 뒀던 한나라당도 22일부터 전열을 정비해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한나라당 부설 여의도연구소가 예측한 투표율 23.8%보다 9.5%포인트 높일 수 있을지도 관건이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윤희웅 조사분석실장(37)은 “보통의 여론조사에서 적극적 투표의사는 60% 이상이 나오는데 이번 투표는 40% 전후로 나온다”면서 “인물선거가 아닌 정책투표라는 특성과 야당의 투표 참여 거부, 학부모들의 소극적인 반응 등이 결합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