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급식을 둘러싸고 언론사별로 여론조사를 벌이고 있지만 그 결과는 달라 어떤 결과가 진정한 서울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한 것인지 헷갈리고 있다.
<조선일보>는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3일 무상급식 주민투표 문안대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소득하위 50%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까지 단계적으로 무상급식을 한다'는 의견이 58.8%, '소득 구분 없이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초등학교는 2011년까지, 중학교는 2012년까지 전면적인 무상급식을 한다'는 의견이 39.1%가 나왔다.
특히 주민투표 결과와 함께 오세훈 시장의 거취를 묻는 질문에 '시장직을 연계하는 것은 시장으로서 바람직하지 못한 모습'이란 응답이 61.5%였으며, '진정성을 보이기 위해 투표 결과에 시장직을 걸어야 한다'는 24.7%였다.
결국 이번 주민투표 결과에서 서울시가 원하는 방향으로 결과가 나오지 않더라도 오세훈 시장은 계속해서 시장직을 수행해야 한다는 얘기다.
한나라당 지지층에서는 64.3%가 시장직 연계를 반대했으며 민주당 지지층에서도 과반수가 넘는 54.1%가 주민투표 결과와 시장직을 연계에 반대했다. 여야 지지층 모두가 주민투표와 시장직 연계에 대해서는 반대 입장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앙일보>와 -동아시아연구원(EAI)가 23일 한국리서치에 의뢰한 결과도 <조선일보>의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지난 23일 서울시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주민투표 문항 그대로 물은 결과 '소득 하위 50% 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까지 단계적으로 실시'란 응답은 과반수가 약간 넘는 53.2%였으며, '소득 구분 없이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초등학교는 2011년부터, 중학교는 2012년부터'라는 응답은 38.1%로 나타났다. '모름·무응답'은 8.7%였다.
전면 무상급식을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응답자의 76.0%가 '막대한 예산 소요 때문에 세금이 늘어날 수 있다'에 '공감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소득 하위 50% 학생들이 가난한 학생으로 분류돼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의견에는 58.0%가 동의해 소위 '낙인'효과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무상급식 주민투표에 참여하겠느냐'는 질문에는 63.3%가 응답해 높은 참여 의사를 보였다.
이번 조사의 표본은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에 따른 할당 추출법으로 선정했고, 조사는 유선전화 임의전화걸기(RDD·Random Digit Dialing)와 컴퓨터를 이용한 면접방식으로 진행됐다. 최대 허용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였다.
<서울신문>이 창간 107주년을 맞아 지난 7월 18일 한국정책과학연구원(KPSI)에 의뢰해 실시한 여론조사의 결과도 앞선 두 결과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소득수준에 따라 선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는 응답이 54.7%로 '소득 수준에 상관없이 전면적으로 실시해야 한다'는 응답 42.0%를 12.7%포인트 앞질렀다.
그러나 서울시 주민들만을 대상으로 한 결과는 '선별 실시'가 49.8%, '전면 실시' 40.0%, '모르겠다(무응답 포함)' 10.2%로 '모르겠다'고 답한 주민들이 실제 선거일에 어떻게 움직이느냐에 따라 그 결과가 바뀔 수 있는 양상을 보였다.
본격적인 선거운동이 실시되지 않고 투표일까지 한달여가 남은 상황에서 실시된 여론조사이지만 서울시민들은 전반적으로 '전면적 무상급식'보다는 '선별적 무상급식'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본격적인 선거운동이 실시된다면 그 향배는 어떻게 변할지 모르는 상황으로 '선별적 무상급식'을 주장하는 서울시와 '전면적 무상급식'을 주장하는 야당이 어떻게 서울시민을 설득시키느냐가 그 운명을 가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