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일간지가 여론조사 기관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서울시 안인 단계적 무상급식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민주당 안인 전면적 무상급식을 선호하는 응답자는 30~40%대에 머물렀다. 또 시민의 60%가량이 8월 중으로 치러지는 주민투표에 대해 참여 의사를 가진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23일 <중앙일보>와 YTN-동아시아연구원(EAI)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서울시 거주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3.2%가 서울시 안을 선택했다. 민주당 안을 선택한 응답자는 38.1%였다. 주민투표에 참여하겠다는 응답자는 63.3%에 달했다.
<조선일보>-미디어리서치 여론조사에서는 서울시 안 찬성이 58.8%, 민주당 안 찬성이 39.1%의 지지를 받았다.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34.6%, 웬만하면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36.7%, 투표할 생각이 없다는 응답은 25.8%로 각각 나타났다.
<서울신문>-한국정책과학연구원 여론조사에서는 선별적 무상급식에 54.7%, 전면적 무상급식에 42%가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무상급식 주민투표에 찬성한다는 의견은 53.2%, 반대한다는 의견은 40.7%로 나왔다.
이처럼 무상급식에 대한 여론이 단계적 혹은 선별적 무상급식에 약간 유리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승부의 최대 관건은 투표율로 지목된다. 투표율이 33.3%가 넘어야 개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나라당과 서울시는 투표율을 높이는 데, 민주당은 주민투표 자체를 막는 데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관측된다. 민주당은 투표 중지 가처분 신청과 무효소송 등을 제기한 상태다.
한편, 주민투표는 다음달 24일쯤 치러질 예정이며, 서울시 투표권자의 1/3 이상이 투표해 개표가 이뤄지면, 유효 투표수의 과반 득표를 받는 무상급식 안이 시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