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값 등록금 문제를 공론화한 한나라당 황우여 원내대표는 6월 중 공청회 등을 열어 각계 여론을 수렴한 뒤 정부와 협의해 최종안을 내놓기로 한 상태다. 민주당은 6월 임시국회에서 반값등록금 예산 5000억원을 추가로 편성한 뒤 당장 실현하자는 입장이다.
이에 대한 국민 여론은 ‘재정 부담을 고려해 제한적으로 실시해야 한다’는 쪽이 58.4%로 가장 많았다. ‘재정 적자를 감수하더라도 적극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도 19.9%였다. 찬성 의견이 78.3%에 이르는 셈이다. ‘인기영합 정책이므로 반대한다’는 의견은 18.4%에 그쳤다.
한·미 FTA 비준동의안에 대해선 찬성이 57.8%, 반대가 32.7%였다. 현재 한나라당은 6월 임시국회에서 비준안을 처리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민주당은 반대하고 있다.
고엽제 매립과 관련한 주한미군의 해결 노력에 대해선 긍정적 평가(30.2%)보다 부정적 평가(67.1%)가 더 많았다.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은 34.9%(지난달 35.1%)로 나타났다. 이명박 정부의 후반기 국정기조인 ‘공정사회 구현’에 대해선 ‘성과 있다’가 22.1%, ‘성과 없다’가 66.3%였다. 정한울 EAI 여론분석센터 부소장은 “부산저축은행 문제가 대통령 측근이 얽힌 불법로비 사건으로 확대되면서 ‘공정사회’ 기조가 상처를 입은 것 같다”고 분석했다.
차기 대선후보 지지율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35.3%), 손학규 민주당 대표(12.0%), 한명숙 전 국무총리(5.1%), 오세훈 서울시장(4.7%),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4.6%), 김문수 경기도지사(4.1%), 정동영 민주당 최고위원(3.0%)의 순이었다. 이번 조사에 처음 포함한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은 2.6%의 지지율로 이회창 전 선진당 대표와 함께 공동 8위를 기록했다. 10위는 김문수 지사와 연대한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2.0%)였다. 이번 조사의 표본은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에 따른 할당추출법으로 선정했고, 조사는 유선전화 임의번호 걸기(RDD)와 컴퓨터를 이용한 면접방식으로 진행했다. 최대 허용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5%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