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연구원과 한국리서치가 실시한 ‘연평도 포격이 한국여론에 미친 영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북한의 이번 공격에 대응하는 정부와 군 당국의 조치에 대해서 응답자 72%가 ’잘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했다. ‘잘하고 있다’는 평가는 24.7%에 그쳤다. 이 연구원은 진보와 보수 모두가 정부 대응에 비판적이라고 전했다.
이 같은 평가는 청와대의 ‘확전 발언 논란’과 잇따라 제기되는 군의 응전태세 허점 실태 등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정부와 군의 위기관리능력이 적절치 못하다는 것이다. 정부의 대응 중 잘한 것을 묻는 질문에서도 “없다”는 대답이 26.1%에 달했다. 잘못한 대응을 묻는 질문에는 “위기관리 시스템”이 36.5%로 가장 높게 나왔다.
다만 진보와 보수 사이에서 비판 이유에 시각차가 있었다. 진보와 중도층은 “위기관리시스템의 혼선”을, 보수층은 “미온적인 군사대응”을 가장 문제로 지적했다.
또한 연평도 대응에 대한 여론의 반감이 국정지지율 하락으로 이어졌다. 지난 10월 51%였던 국정 지지율이 11월에는 44.2%로 6.8%P 하락했다. 서울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개최로 올랐던 지지율이 이번 연평도 사건으로 원상복귀한 것이라고 이 연구소는 분석했다.
지난 3월 일어났던 천안함 폭침 사건 당시 같은 기관의 여론조사에서 “대응 잘했다”는 응답이 57.6%에 달했지만, 연평도 사건에서는 “대응 잘했다”는 응답이 24.7%로 절반 넘게 떨어졌다.
또한 대응조처로서 '제한적 군사보복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에 대해 천안함 사건 직후에는 28.2%의 응답자만이 지지했지만, 연평도 사건 직후에는 68.6%의 응답자들이 지지했다.
한미동맹에 대한 지지도는 꾸준히 상승해 지난 1월 34.7%였던 것이 천안함 사건 이후인 7월 43.2%까지 올랐도 이번 조사에서는 48.6%로 상승했다.
연평도 사건이 정당지지율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평도 사건 전후로 한나라당 지지율은 35.2%로 10월 조사(37.3%) 때보다 소폭하락했고, 민주당은 23.5%로 변화가 없었다.
차기 대선 후보자들의 지지율도 전체적으로 하락한 가운데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30.8%로 선두를 지켰다. 유시민 전 보전복지부 장관은 8.5%, 손학규 민주당 대표는 5.8%로 나타났다. 이회창 자유선진당 대표가 5.3%로 지지율이 올라 손 대표 뒤를 바짝 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