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대한민국이 공격당했다] 천안함 때와 확 달라진 여론

  • 2010-11-29
  • 홍영림기자 (조선일보)
"정부 대응 잘못" 72% "제한적 군사 조치 지지" 69%

"軍 강력 대응했어야" 80% MB 지지율도 44%로 하락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에 대해 우리 국민 70% 가까이가 '제한적 군사조치'를 지지하는 입장을 밝혔다. 천안함 사건 직후인 4월 조사에선 '제한적 군사조치' 지지 입장이 30%에 못 미쳤었다.

 

천안함 사건에 대한 정부 대응에 대해선 '잘하고 있다'와 '잘못하고 있다'가 팽팽하게 맞섰던 반면, 연평도 도발에 대한 정부 대응은 '잘못하고 있다'가 '잘하고 있다'보다 세 배가량 많았는데 이는 거듭된 북한 도발에 정부가 적절한 대응을 못하고 있다는 부정적 평가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정부 대응 잘못" 다수

 

동아시아연구원(EAI)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7일 전국 성인 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에 대한 정부의 대응에 대해 '잘하고 있다'는 24.7%에 불과했다. '잘못하고 있다'는 72%나 됐다. 동아시아연구원의 지난 4월 조사에서 천안함 침몰 사건에 대한 정부 대응에 대해 '잘하고 있다'(41.2%)와 '잘못하고 있다'(47.5%)의 차이가 크지 않았던 것과 비교하면 민심이 냉담해졌다.

 

정부의 잘못으로는 '위기관리 시스템의 부재'(36.5%)와 '북한에 대한 미온적 대응'(23.8%)이 많이 꼽혔다. 이번 사건과 관련, 북한에 대한 '제한적인 군사적 조치'에 대해 '바람직하다'(68.6%)는 의견이 다수였다. 지난 4월 조사에선 대북 제한적 군사 조치에 대해 '바람직하다'가 28.2%에 그쳤었다.

 

전반적인 안보 상황에 대해선 '불안하다'가 81.5%였다. 천안함 침몰 사건 이후인 지난 4월 조사 때의 66.8%보다 높아지면서 현 정부 들어 안보 불안감이 최고조에 이르렀다.

 

아산정책연구원이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같은 날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이번 사건에 대한 정부의 대응에 대해 부정 평가(65.7%)가 긍정 평가(25.9%)보다 훨씬 높았다. 연평도 포격 도발의 책임론과 관련, '북한 책임'(87.3%)이란 응답이 '우리 정부 책임'(12.7%)을 압도했고, '우리 군이 더욱 강력히 대응했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동의도 압도적(80.3%)이었다.

 

대통령 지지율 하락

 

연평도 포격 도발에 대처하는 정부 대응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이명박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으로 이어졌다.

 

G20 서울 정상회의 직후인 2주일 전 청와대 자체 조사에서 60%까지 상승했던 이 대통령의 지지율은 동아시아연구원 조사에선 44.2%, 아산정책연구원 조사에선 44.7%를 기록했다.

 

동아시아연구원 조사에서 정당 지지율은 지난달에 비해 한나라당은 37.3→35.2%, 민주당은 23.5→22.9%로 약간씩 하락했다.

 

차기 대선후보 지지율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30.8%)가 선두인 것은 변함이 없지만 지난달(34.3%)에 비해 3.5%포인트 낮아졌다. 그 뒤는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장관(8.5%), 손학규 민주당 대표(5.8%), 이회창 자유선진당 대표(5.3%), 김문수 경기지사(4.4%), 오세훈 서울시장(4.1%), 정동영 민주당 최고위원(3.1%),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2.7%) 등이었다.

 

안보 위기 분위기에서 강경한 대북 노선을 요구하고 있는 이회창 대표(8위→4위)의 상승이 눈에 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