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선거전 막바지에 유권자들의 표심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는 변수는 안보 문제를 부각시킨 '천안함 사태'로 분석됐습니다. SBS 패널조사에서 응답자의 64%는 정부의 조사결과를 신뢰한다고 답했지만, 지방선거에 이용되고 있는 것 같다는 응답도 67%나 됐습니다.
김윤수 기자입니다.
<기자> 이번 지방선거에서 지지 후보를 정하는데 '천안함 사태'를 고려했는지 물었습니다.
응답자의 54.1%가 '그렇다'고 대답했습니다.
64%는 정부의 조사 결과 발표를 신뢰한다고 답했지만, 지방선거에 영향을 미치려는 정부 여당의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것 같다는 응답자도 67.2%나 됐습니다.
군 책임자 문책에 대해서는 73.9%가 공감했고 여야가 초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응답은 88.7%였습니다.
정권 심판론에 대해서는 65%가 공감한다고 밝혔습니다.
패널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정권심판론에 공감하는 의견이 적쟎은데도 천안함 사태가 유권자들에게 더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강원택/숭실대 정외과 교수 : 이번 선거를 중간평가적 속성이 있다라고 하는 응답도 여전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입니다. 결국은 천안함 사건이 중간평가적 속성의 의미를 덮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이른바 노풍의 선거 영향에 대해서는 62.1%가 아니라고 답했습니다.
또 노무현 전 대통령 1주기와 관련해 응답자의 77.5%는 야당이 지방선거에 영향을 미치려는 정치적 의도가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이밖에 지지후보를 결정할 때 세종시, 4대강 사업, 무상급식을 고려했다는 응답이 모두 절반을 넘어, 지역에 따라서는 이들 이슈가 승패의 변수가 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번 조사는 SBS와 중앙일보, 동아시아연구원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전국 5개 지역 2288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방식으로 조사했으며 95% 신뢰 수준에 오차범위는 ±4.6%포인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