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가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유권자 3명 중 2명이 이명박 정권의 실정을 심판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승리를 자신하던 정부여당을 바짝 긴장케 하고 있다.
31일 <중앙일보>에 따르면, <중앙일보>, SBS, 동아시아연구원은 여론조사기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24일~26일 전국 5개 지역 2천288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번 선거에서 이명박 정권의 실정을 심판해야 한다'는 야당주장에 대해 응답자의 65%가 공감을 나타냈다. 세부적으론 매우 공감이 29.5%, 대체로 공감이 35.6%였다.
그러나 이처럼 심판론이 높으면서도 서울-경기의 경우 심판론에 공감한다는 유권자 중 절반가량이 현직 시-도지사를 긍정 평가했다. 현직에 대한 긍정 평가자의 오세훈 대 한명숙 지지율은 39.7% 대 34.7%, 김문수 대 유시민 지지율은 45.2% 대 36.3%였다.
천안함 사태가 선거에 미친 영향과 관련해선 응답자의 54.1%가 '그렇다'(매우 고려 24.5%, 약간 고려 29.6%)고 답했다.
그러나 민군합동조사단의 천안함 조사결과가 지방선거에 영향을 미치려는 정부 여당의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것 같다는 비판적 응답자도 67.2%에 달했으며, '천안함 조사결과를 신뢰한다'는 의견 역시 64%로 기존 조사들보다 10%포인트 가까이 줄었다. 특히 20대(45.3%), 30대(48.4%)의 신뢰도는 50%를 밑돌았다.
군 책임자 문책에 대해선 73.9%가 공감했고 여야가 초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응답은 88.7%였다.
노풍의 선거영향은 62.1%가 아니라고 답했고, 노무현 전 대통령 1주기와 관련해 응답자의 77.5%는 야당이 지방선거에 영향을 미치려는 정치적 의도가 있다고 응답했다고 전했다.
야권이 제기한 주요 선거이슈에 대한 공감도도 높았다. 무상급식의 경우 69.3%의 응답자가, 4대강 사업은 63.7%의 응답자가, 세종시 수정안 문제에 대해선 55.8%의 응답자가 선거에 고려할 것이라고 답했다.
접전지인 충남의 안희정, 경남의 김두관 후보는 선전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후보는 1차 패널조사 때의 부동층을 경쟁 후보보다 더 흡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 후보의 경우 당시 부동층 153명 중 50명(32.7%)을 새 지지층으로 포섭한 반면 박상돈 후보는 31명(20.3%)을 받아들이는 데 그쳤다. 김 후보 역시 1차 때의 부동층 186명 중 43명(23.1%)을 흡수한 반면, 이달곤 후보는 34명(18.3%)을 흡수하는 데 그쳤다.
충남·경남은 “아직 후보를 결정하지 못했다”는 응답자가 충남 23.3%, 경남 32.3%인 데 비해 서울·경기는 각각 15.0%, 16.4%였다. 충남·경남의 경우 이들 중 각각 40.5%, 54.3%가 여전히 부동층으로 남아 있다. 이들이 투표소로 나올 경우 캐스팅보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오차범위는 ±4.6%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