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SBS·동아시아연구원(EAI)이 여론조사기관인 한국리서치와 공동으로 24~26일 지방선거 2차 패널조사(1차 조사는 5월 10~12일)를 실시한 결과에서 보이는 추세다. 이번 조사는 서울·경기·충남·경남·전북 등 전국 5개 지역 광역단체장 선거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이 신문에 따르면 천안함 발표 때문에 야당이 일방적으로 불리한 것은 아니다. “이번 선거에서 이명박 정부의 실정을 심판해야 한다”는 데 대해 5개 지역 유권자 3명 중 2명이 동의했다. 노무현 정부 심판론에 대해서도 공감한다는 응답이 평균 27.1%로 낮았다.
눈여겨볼 대목은 서울·경기의 경우 MB 정부 심판론에 공감한다는 유권자 중 절반가량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직 시·도지사를 긍정 평가했다. 현직에 대한 긍정 평가자의 오세훈 대 한명숙 지지율은 39.7% 대 34.7%, 김문수 대 유시민 지지율은 45.2% 대 36.3%였다. 반면 야권의 한명숙·유시민 후보는 한나라당의 오세훈·김문수 후보에 비해 신뢰성·청렴성·친근감 등의 이미지에서 모두 뒤진다는 응답이 많았다.
천안함 이슈의 영향력 속에서도 지역 현안에 뿌리를 둔 안희정(충남·민주당)·김두관(경남·무소속) 후보가 선전하는 반면 중앙정치 대결구도에 치중하고 있는 야권의 한명숙(서울)·유시민(경기) 후보가 고전하고 있다.
안희정 후보는 세종시라는 지역 최대이슈에 기반하고 있고, 김두관 후보는 도지사에 세 번째 도전하면서 지역에 상당한 뿌리를 내린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신문에 따르면 두 후보는 1차 패널조사 때의 부동층을 경쟁 후보보다 더 흡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 후보의 경우 당시 부동층 153명 중 50명(32.7%)을 새 지지층으로 포섭한 반면 박상돈 후보는 31명(20.3%)을 받아들이는 데 그쳤다. 김 후보 역시 1차 때의 부동층 186명 중 43명(23.1%)을 흡수한 반면, 이달곤 후보는 34명(18.3%)을 흡수하는 데 그쳤다.
접전으로 분류되고 있는 충남·경남은 서울·경기에 비해 미결정자와 부동층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아직 후보를 결정하지 못했다”는 응답자가 충남 23.3%, 경남 32.3%인 데 비해 서울·경기는 각각 15.0%, 16.4%였다. 충남·경남의 경우 이들 중 각각 40.5%, 54.3%가 여전히 부동층으로 남아 있다. 이들이 투표소로 나올 경우 박빙 승부의 캐스팅보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고 중앙일보는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