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중산층의 증가는 우리 사회에 하방 계층이동의 압력이 그만큼 커졌다는 불길한 전조다. 이들이 안정적인 핵심 중산층으로 도약하지 못하고 주저앉으면 중산층의 두께가 엷어지면서 자칫하면 안정적인 계층구조의 틀이 무너질 우려가 크다. 중산층이 붕괴하고 극심한 양극화 현상이 벌어지면 사회적 불안은 가중될 수밖에 없다.
이 같은 최악의 사태를 막기 위해선 한계중산층이 저소득층으로 추락하지 않도록 붙드는 한편 핵심중산층으로 상향 이동할 수 있도록 전 사회가 물심양면의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그러자면 이들의 저소득층 추락을 막는 사회복지 정책과 함께 이들이 안정적인 중산층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성장 정책을 아울러 병행해야 한다. 조사 대상자들은 무엇보다 일자리 창출이 가장 시급하다고 응답했다. 취약계층에 대한 소득 지원이나 세제 지원보다 일자리를 만드는 성장정책이 중산층을 두텁게 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특히 일자리를 더 많이 만들려면 비정규직의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응답이 56.4%에 달했다. 비정규직이라도 좋으니 당장 소득을 올릴 수 있는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것이 급하다는 얘기다.
정부와 정치권은 경제위기의 타격이 가장 큰 이들 한계중산층의 절절한 목소리를 새겨들어야 한다. 일자리 창출이야말로 가장 효과적이고 근본적인 복지대책이다. 중산층 복원의 첫걸음이 일자리 창출이어야 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