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지지도 변동폭 적어.. 민주당 장외투쟁에도 여론 부정적
한나라당이 민주당 등 좌파 야당들의 물리적 저지를 뚫고 강행처리한 미디어법의 후폭풍이 그다지 심하지 않음을 암시하는 여론조사 결과가 연이어 공개됐다.
여론조사기관인 윈지코리아컨설팅이 지난 25~26일 양일간 전국 1천명의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한나라당의 정당지지도는 직전 조사와 별 차이가 없는 26.6%로 나타났고 민주당의 지지도는 5.6%p 상승한 24%를 기록했다. (오차한계는 95% 신뢰수준에서 ±3.1%p)
민주당이 전통적 지지세력의 결집에 성공하며 격차를 좁힌 것으로 보이나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조문 정국과 같은 정당지지도 역전 현상은 발생하지 않은 것이다. 고인의 영결식 직후였던 지난 5월말 실시된 윈지코리아컨설팅의 여론조사에서는 ‘조문 정국’으로 인한 역풍 덕택에 민주당이 한나라당에 10%p 가량 앞선 바 있다.
민주당의 장외투쟁에 대해서는 ‘소수 야당으로서 불가피한 선택’(38.1%)이란 응답보다 ‘국회의원이 장외로 나가 싸우는 것은 옳지 않다’(54.8%)라는 응답이 우세했다.
또 민주당이 소속의원 총사퇴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서는 ‘강력한 항의는 필요하지만 의원직 사퇴는 바람직하지 않다’(55.1%)는 응답 비율이 ’강력한 항의의 표시로 불가피한 선택‘(20.1%)이란 응답보다 두배 이상 높았다.
EAI(동아시아연구원)와 한국리서치의 7월 정기여론조사에서도 상황은 비슷하다. 한나라당과 민주당 지지율은 지난달 동 기관의 조사에 비해 2.1%p씩 하락해 각각 26.9%, 21.8%를 기록했다. (전국 800명의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지난 25일 조사. 오차한계는 95% 신뢰수준에서 ±3.5%p)
이같은 조사 결과는 미디어법 강행 통과로 인한 여론의 역풍이 지난 2004년 3월 대통령 탄핵 정국과 올해 5월말 조문 정국에 비해서는 미미한 수준임을 입증하고 있다. 탄핵 정국 당시에는 소규모 여당이었던 열린우리당의 지지도가 일시적으로나마 50%대까지 상승해 한나라당을 압도했고, 조문 정국 직후에는 대부분의 여론조사에서 민주당의 지지도가 한나라당에 앞섰으며 일부 조사에서는 10%p 가량 앞서기도 했다.
결국 미디어법을 빌미로 ‘정권 퇴진’을 구상하고 있는 좌파진영의 희망이 실현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한 정치권 인사는 “정치성향이 강한 소수와 언론계 종사자들을 제외한 대다수 국민들은 미디어법 공방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관심이 있다고 해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편”이라며 “지난해 광우병 촛불시위나 올해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정국에 비해서는 휘발성이 적은 이슈”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