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친이계 시도당위원장 선거 패배의 역설

  • 2009-07-27
  • 김승섭기자 (아시아투데이)
"안전장치 있고 반전기회도 있다"

지방선거 공천권한을 가진 시도당위원장직을 친박근혜계가 대거 잠식해 나가면서 한나라당 지방권력의 교체가 가시화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전국 16개 시도당 가운데 위원장 선출이 마무리된 13곳 중 7곳을 친박계나 중도성향의 의원들이 차지했다. 특히 주류 친이(親李)계의 아성인 서울시당위원장 경선에서도 친박계의 지원을 받은 중도성향의 권영세 의원이 승리했다.

서울과 함께 인천(이경재 의원), 부산(유기준 의원), 대구(서상기 의원), 경북(김태환 의원), 경남(이주영 의원) 등 거대도시와 한나라당의 전통적 지지기반인 영남권을 친박계가 싹쓸이 하면서 주류 측에 비상이 걸렸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는 것.

그러나 시각을 틀어 들여다보면 친박계가 지방권력을 손에 넣었다고 해서 주류측이 낙담할일만은 아니다. 우선 한나라당은 가속화되고 있는 민심이반으로 내년 지방선거 승리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미디어법 강행 처리된 직후(지난 25일) 실시된 ‘EAI 한국리서치 7월 정기여론조사’에서 한나라당과 민주당 지지율은 지난달보다 2.1%포인트 떨어져 각각 26.9%, 21.8%를 기록했다. 불과 5.1%차이다.

하지만 ‘박풍(朴風)’이 제대로 불어준다면 사정은 달라진다. 친박계 시도당위원장들이 지방선거 공직후보자를 공천하면 대선 박근혜 전 대표가 지원유세에 나설 것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더한다.

한나라당은 지난 총선과정에서 집권초기 여세를 몰아 과반의석을 달성하는데 성공했지만 공천에 불만을 품고 탈당한 친박계 인사들이 친박연대 및 친박무소속연대로 대거 출마해 승전하면서 진땀을 흘려야했다.

주류 측은 지방권력을 일정부분 넘겨줌으로 해서 ‘박 전 대표 지원유세’라는 일종의 담보를 확보한 셈이다.

또한 주류 측은 안전장치도 확보하고 있다. 시도당위원장이 지방선거 공천을 관할하지만 당규상 공직후보자추천 규정은 친이명박계가 다수를 점하고 있는 최고위원회의 의결을 통해 확정된다.

또 당헌 제 92조는 각종 선거에 있어 취약지역에 전략지역 및 인재영입지역을 선정할 수 있도록 했고, 광역단체장 및 기초단체장 선거는 중앙당 공천심사위원회가 맡도록 하고 있다.

시도당위원장 임기가 1년이라는 점도 친박계의 우위가 내년 지방선거 이후 치러질 2012년 총선과 대선에서도 이어질 지 속단할 수 없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