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브라운.후진타오 順…부시는 23%로 하위권

  • 2008-06-15
  • 김영화기자 (헤럴드경제)

주요 지도자 신뢰도 조사

브라운.후진타오 順…부시는 23%로 하위권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 등 8명의 세계 주요 지도자들 가운데 세계 20개국 국민들로부터 가장 높은 신뢰도를 얻었다.

 

그러나 지도자들의 신뢰도가 모두 40%에 못 미쳐 세계적인 리더십 공백 상태를 보여줬다.


16일 미 메릴랜드대 국제정책태도프로그램(PIPA)이 운영하는 월드 퍼브릭 오피니언이 20개국 국민을 대상으로 고든 브라운 영국 총리,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전 러시아 대통령,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 등 세계 주요 지도자 8명에 대한 신뢰도를 조사한 결과 반 사무총장은 평균 신뢰도가 35%로 가장 높았다.


다음은 푸틴 전 러시아 대통령(32%), 브라운 총리(30%), 후 주석(28%), 사르코지 대통령(26%) 등의 순이었다.


반면 부시 미 대통령은 평균 23%를 얻는 데 그쳐 신뢰도가 가장 떨어지는 지도자에 속했다. 부시 대통령보다 신뢰도가 떨어지는 지도자는 페르베즈 무샤라프 파키스탄 대통령(18%)과 마흐무드 아흐마디네자드 이란 대통령(22%)뿐이었다.


20개국에서 행해진 여론조사에서 세계 주요 지도자들의 평균 신뢰도가 40%에도 미치지 못함에 따라 세계가 리더십 공백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인들은 이번 조사에서 반 총장에게 83%의 몰표를 보냈다. 이어 브라운 총리(57%), 후 주석(56%), 푸틴 전 대통령(54%), 사르코지 대통령(48%), 부시 대통령(30%), 아흐마디네자드 대통령(21%), 무샤라프 대통령(16%) 등의 순이었다.


또 아시아 역내 국가 지도자 가운데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에 대한 한국인들의 신뢰도는 12%로 꼴찌였다.


미국에선 브라운 총리가 신뢰도 59%로 부시 대통령(42%)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 반 총장은 미국에서 33%로 사르코지 대통령(38%)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월 10일~5월 6일 미국과 영국 한국 러시아 프랑스 등 20개국 1만9751명을 대상으로 세계 주요 지도자들의 국제문제 대처 방식에 대한 신뢰도를 묻는 식으로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