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반한나라 연합 뜨면…지지층 넓으나 인물 없는 게 문제

  • 2007-05-03
  • 이내영 외 (중앙일보)

범여권이 반한나라당 연합을 결성할 경우 국민적 지지를 받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좋아하는 정당과 싫어하는 정당을 물어본 결과 한나라당 지지자 중 42.2%가 열린우리당을 가장 싫어하는 정당으로 꼽고 있다. 반면 열린우리당 지지자 56.8%를 비롯해 민주당 지지자 45.1%, 민주노동당 지지자 57.9%, 국민중심당 지지자 40%가 한나라당을 가장 싫어하는 정당으로 꼽고 있다.

그러나 당장 반한나라당 연합이 이루어질 것으로 장담할 수는 없다.

첫째, 반한나라당 연합을 추진할 중심 세력이 없기 때문이다. 반한나라당 연합에 참여할 정당 지지율이 열린우리당 11.8%, 민주당 5.1%에 불과하고, 통합신당모임 등은 미미한 수준이다. 전체 국민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무당파도 45.3%가 싫어하는 정당이 없다고 밝혀 반한나라당 정서가 강하지 않았다.

둘째, 후보 중심의 반한나라당 연합 시나리오가 국민의 광범위한 지지를 얻기 힘들 것 같다. 한나라당 소속 대선 후보들의 강세에 비해 범여권 후보들의 지지도가 미미하기 때문에 현재로선 특정 후보를 구심점으로 한 연합이 결성될 여지가 작다. 손학규.정동영 등 범여권 선두 후보가 대선에 출마하지 않을 경우 차선책으로 범여권 후보보다 한나라당 후보를 선택하겠다는 응답이 더 많았다.

현재의 여론만 놓고 보면 범여권이 결집하더라도 상당수 지지자는 후보 선출 과정에서 한나라당 후보 지지로 이탈할 가능성이 있다. 범여권 결집 효과가 미약하다는 결론이다. 범여권 반한나라당 연합에 희망을 걸고 있는 현 여권 지도부로선 곤혹스러운 결과가 아닐 수 없다.

?범여권 재결집 전략=범여권 지지자의 이탈이 심한 데 비해 한나라당 지지자의 결집은 공고하다. 16대 대선에서 노무현 후보를 지지했던 유권자 중 65%가 범여권 대선 후보 누구도 지지하지 않고 있다. 지난해 지방선거 때 열린우리당 후보 지지자 중 35%만이 범여권 대선 후보를 지지한다고 했다. 지방선거 때 한나라당 후보 지지자 중 77%가 여전히 한나라당을 지지하고 있다.

정부 정책에 대한 유권자의 심판 혹은 보상으로서 투표 선택을 하게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범여권 지지층 재결집 전략은 의외로 간단히 도출될 수 있다.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높이고, 가정 또는 국가 경제가 호전되었거나 최소한 악화되지 않았다는 평가를 이끌어내야 한다. 그래야만 재결집이 가능하고 한나라당 후보 지지로 돌아섰던 범여권 이탈 층의 "재전환"(지지 복귀) 가능성도 나타날 것이다.

 

이내영 · 권혁용 고려대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