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선을 전후 해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의 단절과 대립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졌지만, 이번 조사 결과 두 집단간 정치적 입장 차이는 예상보다 크지 않았다.
우선 정책성향 측면에서는 입장 차이가 거의 없거나 아주 비슷한 복합적 양상이 포착됐다.
"세금을 더 내더라도 복지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신.구세대가 모두 높은 지지를 보내고 있다. 20대의 62.2%와 50대 이상의 54.6%가 같은 생각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합의는 대학의 기여입학에 대한 입장과 같은 사회적 이슈에서도 분명하게 발견된다. 이처럼 전통적 보수-진보의 기준뿐만 아니라 환경정책과 같은 새로운 이슈에 대해서도 한국의 신.구세대는 상당한 세대간 합의를 갖고 있다.
하지만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특수한 상황을 둘러싼 정책문제, 특히 남북관계와 한.미관계에 있어서는 신.구세대간에 첨예한 의견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국가보안법 폐지에 대해 20대의 62.8%가 지지한 반면 50세 이상의 경우 32%만이 찬성하고 있다. 대북지원 문제에 있어서도 분명한 입장의 차이가 드러난다.
20대의 62.2%는 "북한의 핵 개발 문제와 상관 없이 민족적 차원에서 북한에 지원을 가능한 많이 해야 한다"는 주장에 동의했지만, 50세 이상의 기성세대는 43.2%가 동의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대의 경우 지난 대선에서 자신의 후보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노무현-정몽준 후보의 선거공조(20.4%)와 함께 미군 무한궤도차량 사건에 대한 추모시위 (13.2%)를 꼽고 있다.
반면 기성세대는 행정수도 이전(16.1%)과 북한 핵 시설 재개(14.4%)를 들었다. 결국 우리 사회에서 세대간에 풀어가야 할 과제는 경제문제나 사회문제보다는 통일방안을 포함한 대북문제, 한.미관계 재설정 등이 중심이 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정치적 성향과 관심.지식의 정도에서도 신.구세대간 차이는 생각만큼 두드러지지 않았다. 자신의 성향이 여당에 가깝다고 응답한 사람은 20대(24.9%)보다 50대 이상(28.2%)에서 약간 더 많았을 뿐이다. 정치적 지식수준에서도 20대와 50대 이상은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젊은 층에선 자신을 진보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하지만 젊은 층의 절반 이상이 스스로를 중도 또는 보수로 생각했고, 50세 이상의 경우 세사람 중 두 명꼴로 자신을 중도 또는 진보로 생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장훈 중앙대학교 교수 · 김주환 연세대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