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후 유권자 여론조사 : 핵 상관없이 북지원을 52%
20세 이상 국민의 51.5%가 "북한의 핵 개발 문제와 상관없이 민족적 차원에서 대북 지원을 가능한 많이 해야 한다"는 데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4.4%는 반대했다.
또 "미국과의 우호를 깨뜨리더라도 한.미 주둔군지위협정(SOFA)을 개정하는 게 필요하다"는 견해엔 "전적으로 찬성"이 50.0%, "절대 반대"가 5.3%인 것으로 나타났다. "약간 찬성"은 27.1%, "약간 반대"는 11.9%다.
이 같은 결과는 중앙일보와 동아시아연구원(EAI.원장 김병국 고려대 교수)이 공동으로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소장 이남영 숙명여대 교수)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20일부터 27일까지 1천5백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선 후 유권자 여론조사에서 나왔다.
기업규제 문제와 관련, "기업이 스스로 개혁을 못한다 하더라도 기업활동에 정부가 간섭하지 말아야 한다"는 견해에 응답자의 42.2%가 찬성("전적으로 찬성"과 "약간 찬성"포함)한 반면, 47.8%가 반대("절대 반대"와 "약간 반대"포함)로 찬반이 비슷했다.
"세금을 더 내더라도 복지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데엔 58.5%가 찬성, 37.5%가 반대한다고 대답했다. 이는 유권자 과반이 대북정책, 한.미관계, 복지정책 등에선 진보적인 입장을 드러내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권력체제와 관련해 현행 대통령제를 지지하는 응답자는 40.6%, 내각책임제는 23.1%가 지지했다. 스스로 여당 성향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26.5%, 야당 성향이 30.7%로 나타난 가운데 "가장 혐오하는 정당"을 묻는 질문은 한나라당(24.2%).자민련(13.2%).민주당(13.1%) 순이었다.
"지난 대선 때 지지후보 결정에 가장 영향을 미친 사건이나 공약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노무현.정몽준(鄭夢準)후보의 선거공조"를 꼽은 사람이 19.9%로 가장 많았고 "행정수도 충청권 이전"이 18.7%로 그 다음이었다.
"북한 핵시설 재가동"은 11.5%, "여중생 추모시위"는 8.0%, "철새정치인 영입"은 4.8%다. 한나라당이 폭로한 "국정원 도청의혹"은 2.7%밖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의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2.5%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