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한국과 중국이 출구를 모색해야 한다. 전략적 소통이 필요하다.”

 

"사드 보복 관련, 중국 정부 신중 모드 돌아서"
한국 학자들 "사드 관련 전략적 소통 필요"
자칭궈 "모든 패 보여줄 정도의 위기는 아니다"
장퉈성 "대북 선제공격 훈련, 오판 일으킬 수도"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한국과 중국의 저명 학자들이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의 한반도 배치를 둘러싸고 벌어진 양국 간 갈등 국면을 빨리 끝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민간 싱크탱크 NEAR재단(이사장 정덕구) 주최로 21일 서울에서 열린 한중현안대화에서다.

 

 

자칭궈(賈慶國) 베이징대 국제관계학원장(중국 인민정치협상회의 상무위원) 등 중국 학자 6명은 “(사드 배치 문제로 격앙된) 중국 내 여론도 점차 잦아들고 있고, 중국 정부도 좀 더 신중한 자세로 돌아서고 있다”며 “양국이 뜻을 모아 출구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공통된 입장을 나타냈다.

 

특히 이들은 “대선 국면에서 전기를 마련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희옥 성균중국연구소장 등 한국 측 학자들은 “중국이 한·중관계를 미·중관계 틀 속에서 보지 말고 양국 관계 자체가 동력을 가지고 갈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며 “사드 레이더에 대한 중국 측의 오해를 풀기 위해 양국 간 전략적 소통이 필요하다”고 호응했다.

 

 

 

 

 

 

 

중국 학자들은 최근 불거진 시진핑(習近平) 주석의 역사 발언 논란에 대해서도 우려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중 정상회담 때 시 주석으로부터 ‘한국은 사실상 중국의 일부였다’는 말을 들었다”고 발언한 이후 진위가 확인되지 않는 가운데 한국에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중국 학자들은 “역사가 현실정치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이들은 “정확한 소스가 없어 구체적인 사정은 알 수 없다”면서도 “(시 주석의 발언은) 복잡한 한·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미국이 한반도 주변 해역에 핵항모 투입을 시사하는 등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는 것과 관련해 자칭궈 교수는 "모든 카드를 보여 줄 정도까지 위기가 고조되진 않았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그는 "만약 북한에서 추가 핵실험을 하게 되면 (군사적 압박) 프로세스가 더 빨리 진행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장퉈성(張沱生) 베이징대 국제전략연구센터 주임은 "한미동맹이 군사훈련을 확대하고 북한에 대한 선제공격 훈련을 진행하는 것은 북한과 마찰 요인이 될 수 있다"면서 "북한으로 하여금 오판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