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Editor's Note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은 13일 "한미관계가 이제 21세기 미래를 향해서 새로운 틀을 만들어 가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조지프 나이 美 교수 접견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은 13일 "한미관계가 이제 21세기 미래를 향해서 새로운 틀을 만들어 가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 당선인은 이날 오전 통의동 집무실에서 조지프 나이 미국 하버드대 교수와 만나 "과거 전통적인 한미관계가 유지돼 왔지만 이제는 새로운 미래를 향한 한미관계를 형성하는 게 양국을 위해서도 바람직하고 동북아의 번영을 위해서도 필요하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한미관계가 그동안 조금 신뢰에 문제가 있었지만 이제 정상적인 신뢰회복을 이뤄야 한다"면서 "특히 6자회담을 통해 북핵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북한의 핵포기를 유도할 수 있도록 좋은 관계를 맺으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선인은 그러면서 "미국이 이라크나 아프가니스탄 문제 등에 집중하고 있어서 아시아 국가의 입장에서 보면 아시아에 대한 정책비중이 낮은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지적한 뒤 "아시아가 세계의 새로운 중심역할을 하고 있는 만큼 미국이 좀 더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나이 교수는 "동의한다"고 말한 뒤 "(한국이) 두 거인 사이에 있기 때문에 현명하게 힘의 균형을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소프트파워(Soft Power)를 잘 활용해서 한국의 브랜드를 해외로 확장해서 반도국의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또 이 당선인이 "미국 대선 후보들 가운데 누가 아시아에 관심이 많은가"라고 묻자 농담조로 "진실이 무엇인지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적을 것"이라고 전제한 뒤 "그러나 좋은 소식은 후보가 누가 되든지, 어느 당이 대선에서 승리하든지 한미관계는 좋아질 것이라는 점"이라고 말했다.

이날 접견에는 유우익 대통령실장 내정자를 비롯해 김병국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내정자인 김병국 고려대 교수, 임성준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권종락 외교보좌역 등이 배석했다. 이 당선인은 이날 접견에서도 평소와 같이 자신의 발언은 통역토록 했으나 나이 교수의 말은 통역없이 진행했다.

미국 국방부 국제안보담당 차관보를 역임한 나이 교수는 "소프트 파워" 개념을 주창한 세계적인 석학으로, 동아시아연구원(EAI)이 주최한 특별강연을 위해 방한했다.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