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大예측: 1. 김정일 정권교체] 북한의 정권교체 3가지 시나리오](../images/bg_tmp.jpg)
[북한 大예측: 1. 김정일 정권교체] 북한의 정권교체 3가지 시나리오
| 2007-01-01
김민철기자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경우 5년쯤 뒤엔 김정일 정권이 결국 교체 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김 위원장의 전방 시찰 때 모습. 북한의 붕괴가 아니라, 김정일 정권이 무너지고 새 정권이 등장하는 것은 어떤 과정을 거쳐 이뤄질까. 먼저 쿠데타가 발생해 김 위원장이 실각하고 새 정권이 들어서는 경우다. 핵실험으로 북한체제위협 요인들이 어느 때보다 많아졌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유엔 제재 지속으로 인한 경제난 가속, 사회주의 질서의 이완과 시장요소 확대, 김 위원장에 대한 불만 등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체제 불안은 군부 불만세력이나 측근 그룹의 정권 전복 유혹을 부추기게 된다.
1. 쿠데타 한다면 親中파·측근그룹 ‘거사’
2. 자연死 5~10년 이상 건강유지 어려워
3. 후계자 아들 정철·정운 내세워 섭정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경우 5년쯤 뒤엔 김정일 정권이 결국 교체 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김 위원장의 전방 시찰 때 모습. 북한의 붕괴가 아니라, 김정일 정권이 무너지고 새 정권이 등장하는 것은 어떤 과정을 거쳐 이뤄질까. 먼저 쿠데타가 발생해 김 위원장이 실각하고 새 정권이 들어서는 경우다. 핵실험으로 북한체제위협 요인들이 어느 때보다 많아졌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유엔 제재 지속으로 인한 경제난 가속, 사회주의 질서의 이완과 시장요소 확대, 김 위원장에 대한 불만 등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체제 불안은 군부 불만세력이나 측근 그룹의 정권 전복 유혹을 부추기게 된다.
또 중국 지도부는 북한핵과 미사일문제 등으로 김 위원장에 많은 불만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쿠데타가 발생한다면 친중 쿠데타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김정일의 지방 현지 지도시 체포·구금, 호위군관이나 측근에 의한 암살, 외부세력의 사주에 의한 암살 등 다양한 상황도 어느 것 하나 배제할 수 없다.
두 번째는 김정일이 자연사할 가능성이다. 김 위원장의 최근 건강상태는 업무수행에 지장이 있을 정도는 아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1942년생인 김 위원장은 올해 만 65세이고, 이미 50대에 이르면서 고혈압 당뇨 등 온갖 질병을 달고 살아 그가 5~10년 후까지 건강을 유지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미 육군전쟁대학 전략연구소(SSI)의 켄 고스(Ken Gause) 연구원은 얼마 전 “김 위원장은 신장과 간이 안 좋고 당뇨를 앓고 있으며 고혈압 등 지병이 있다”며 “그의 건강이 많이 좋지 않아 70세를 넘기기가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자연사가 아니더라도 사고 등으로 갑작스럽게 사망하는 경우도 상정해볼 수 있다.
김 위원장이 건강 악화 등을 이유로 물러나면서 후계자를 세우는 경우도 생각할수 있다. 김 위원장은 영화배우 출신 성혜림과의 사이에서 얻은 정남(35), 무용수 출신 고영희와의 사이에서 난 정철(25), 정운(23) 등 세 아들이 있다. 이들 중 한 명을 후계자로 지명하고 자신은 섭정하면서 후계 체제 공고화를 시도할 가능성도 있다. 정철·정운 가운데 한 명이 후계자가 될 것이란 예상이 있지만, 김 위원장처럼 32세에 후계자가 되어 20년간 ‘수업’을 받는 과정을 거치지 못해 위험하다는 지적도 상당하다. 분명한 것은 북한에서 정권이 교체되면 큰 소용돌이에 빠지면서 예측 불허의 국면이 전개될 것이란 점이다.
동아시아연구원(EAI) 기획 : 大예측-북한, 10년내 어떤 일이
1. "김정일 정권교체" 기사 목록
2. "체제 붕괴 가능성" 기사 목록
3. "핵보유 기정사실화" 기사 목록
4. "군사적 충돌경우" 기사 목록
지난 대선, 국민의힘에 실망한 만큼 민주당 지지 늘지는 못했다
경향신문 | 2007-01-01
국민의힘은 왜 발밑부터 무너지나
매일신문 | 2007-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