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大예측: 1. 김정일 정권교체] 다음 권력은 군부에서?](../images/bg_tmp.jpg)
[북한 大예측: 1. 김정일 정권교체] 다음 권력은 군부에서?
| 2007-01-01
안용균기자
60代 군부 실세그룹에 주목 사단장급 뜻밖 인물 나올수도
김정일 정권 전복 이후에도 북한에는 또 다른 ‘군사정권’이 들어설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북한에서 위기 관리를 떠맡을 만한 권력과 조직을 갖춘 세력은 군(軍) 말고는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김정일 정권 전복 이후 북한 정권을 떠맡을 군 실력자들은 누가 있을까.
60代 군부 실세그룹에 주목 사단장급 뜻밖 인물 나올수도
김정일 정권 전복 이후에도 북한에는 또 다른 ‘군사정권’이 들어설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북한에서 위기 관리를 떠맡을 만한 권력과 조직을 갖춘 세력은 군(軍) 말고는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김정일 정권 전복 이후 북한 정권을 떠맡을 군 실력자들은 누가 있을까.
◆ 주목받는 60대 실세들=북한 군부를 연구해온 켄 고스 연구원은 “군부 내 동년배그룹”을 꼽았다. 이 범주에 들어가는 인물로는 이명수(69) 총참모부 작전국장, 김기선(66) 총정치국 부국장, 김원홍(61) 보위사령관, 김명국(66) 108기계화군단장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70·80년대 김 위원장의 권력 승계 과정에서 치열한 충성 경쟁을 통해 부상한 인물들이다.
◆ 5년 내 급변사태시는 70대 주도=북한 급변사태가 5년쯤 뒤에 벌어지면 막강한 권력을 쥐고 있는 70대 초반 세대가 뒤를 이을 가능성이 높다. 총정치국의 박재경(73) 선전부국장과 현철해(72) 행정부국장, 김영춘(71) 총참모장, 오극렬(75) 당 작전국장 등으로 이들은 군 최고 실세에 속한다. 특히 박재경, 이명수, 현철해 등 3명은 2003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김 위원장을 가장 많이 수행했다. 이들 3명은 “김정일에게 직접 보고하는 관계”라고 한다. 당 정치부의 간섭 없이 군대를 움직일 수 있다는 점에서 오극렬 국장이 가장 유리한 위치에 있다는 분석을 내놓는 전문가도 있다. 이외에 황병서·이용철 조직지도부 부부장도 있다. 황 부부장은 올해 김 위원장 시찰에 가장 많이 동행했다.
◆ 5·16처럼 사단장급이 나타날 수도=10년 후쯤으로 잡으면 군 부대를 실질적으로 통제하는 사단장급이 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국방대학의 한 교수는 “격변사태 때 전혀 뜻밖의 인물이 등장할지 모른다”며 “실제 부대를 이끄는 상장·중장급이 쿠데타를 감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이상현 세종연구소 연구위원은 “김정일 노선과 완전히 선을 긋는 세력이 아니라면 정통성 확보를 위해 정남·정철 등 김정일의 아들을 전면에 내세울 수도 있다”고 말했다. 차두현 국방연구원 교수는 “박정희 군사정권을 대체한 것은 더 억압적인 전두환 정권”이라며 “정권 교체 후 북한에서 비슷한 사례가 나타날 수도 있다”고 했다.
동아시아연구원(EAI) 기획 : 大예측-북한, 10년내 어떤 일이
1. "김정일 정권교체" 기사 목록
2. "체제 붕괴 가능성" 기사 목록
3. "핵보유 기정사실화" 기사 목록
4. "군사적 충돌경우" 기사 목록
지난 대선, 국민의힘에 실망한 만큼 민주당 지지 늘지는 못했다
경향신문 | 2007-01-01
국민의힘은 왜 발밑부터 무너지나
매일신문 | 2007-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