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리포트] 한국 차기 정부의 통상정책 수행체계 재설계: 장관급 전담부서 설치안
"기로에 선 한국, 장관급 전담부서 설치로 급변하는 통상환경에 대응해야"
사드 배치 결정에 따른 중국의 무역 보복에 이어, ‘공정 무역’을 앞세운 미국의 통상 압력도 본격화될 조짐입니다. 한국을 방문 중인 마이크 펜스(Mike Pence) 미국 부통령이 한미 FTA 개정 추진 의사를 밝혔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브렉시트에 따른 한-EU FTA 추가 협상 및 한영 FTA 추진, 한중 FTA 업그레이드 협상까지 당면 과제로 떠오르면서, 향후 2-3년 내에 한국은 세계 3대 경제권과 FTA 재협상을 준비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습니다. 무역이 GDP의 90%를 상회하는 한국으로서는 매우 중요한 시점입니다. 그러나 현 체제로는 이처럼 급변하는 통상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에 한계가 있다고 저자들은 주장합니다. 따라서 보다 능동적인 대응을 위해 공격과 수비는 물론 공수를 조율하는 미드필더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는 장관급 전담부서를 조직할 것을 제언합니다.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관계와 북한
"동북아 역학 변화가 북핵 개발의 기폭제"
연구보고서
미국의 국방예산 추이와 미국의 안보전략
"힘을 통한 평화'에 걸맞은 군비 지출 지속될 것"
연구보고서
위안화 국제화와 한국의 금융외교: 삼립불가능성과 전략적 선택
"위안화 국제화 심화 과정에서 중국 국내 논쟁 심화 전망"
연구보고서
지방자치의 논리와 방향
"지방정부와 지역주민이 이 나라의 주인"
연구보고서
지속가능한 공공기관 개혁
"’보여주기식’ 대책보다는 방만경영 실태 개선해야"
연구보고서
정부신뢰 제고를 위한 열린 정부 추진전략
"정부 도덕성의 수준 개선이 절실"
차이나브리핑
민주주의와 중국
"자유에 대한 중국적 재정의 필요"
차이나브리핑
중국 부상의 국제정치사적 의미
"기존 시스템 뛰어넘는 대안적 세계질서 제시해야 "
이슈브리핑
The Great Transformation of Korean Social Movements: Reclaiming a Peaceful Civil Rev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