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위안부 합의, 국민정서 부합 조치 시급하다
kor_eaiinmedia | 2017-07-24
이미 문재인 대통령은 2015년 위안부 합의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정서에 부합하는 조치를 약속한바 있는 만큼 새로운 방식의 문제해결이 필요하다는 여론인 것이다. 특히 김 할머니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39명 가운데 생존자는 37명으로 줄어 피해 할머니들의 한을 풀어주는 노력이 더 절박해졌다.
문 대통령은 24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김 할머니의 명복을 비는 글에서 “할머니는 16세에 납치당해 중국에 위안부로 끌려가 모진 고난을 겪으셨습니다. 그 후 일본의 전쟁범죄를 증언하고 기부를 통해 남을 돕는 일에 평생 헌신하셨습니다”라고 썼다.
문 대통령은 더불어민주당 대표이던 2015년 12월 경기도 광주 나눔의 집을 방문해 김 할머니를 위로한 바 있다.
하지만 한일 양국 정부간 위안부 합의에 대해 한국인 절반 이상이 부정적으로 보는 반면 일본인 10명 중 4명은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해 양국간 시각차는 여전하다. 한국의 민간 연구기관 동아시아연구원(EAI)과 일본 비영리단체 겐론(言論)NPO가 최근 발표한 ‘제5회 한일국민상호인식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 중 한일 위안부합의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답한 사람은 55.5%로, 긍정 평가를 내린 사람(21.3%)보다 2.6배나 많았다.
반면 일본인 중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한 사람은 41.8%나 돼 부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답한 사람의 비율(25.4%)과 큰 차이가 났다. EAI와 겐론은 지난 2013년부터 매년 설문을 통해 한일 국민의 의식을 조사하고 있다. 양국간 시각차가 여전한 상황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김 할머니 빈소를 찾아 2015년 위안부 합의 내용을 꼼꼼히 검토해보고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국민이 정서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상황에서 피해자분 중 또 한 분이 흡족한 답을 못 얻고 가셨다”면서 “외교부는 합의 내용이나 협상 경과를 좀 더 꼼꼼히 검토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려 한다”고 덧붙였다.
문재인 정부가 이 문제에 대해 보다 전향적인 입장을 견지해야 하는 것은 대다수 국민여론이 깔려있기 때문이다.
김 할머니 별세 이후 SNS상에서는 “학대당한 끔찍한 기억을 평생 갖고도, 나라의 외면과 친일파들의 모진 말들을 들으시면서도, 결국 죄인들의 진실한 사과도, 피해 사실에 대한 인정도 듣지 못하시고 떠나시게 되어 너무 가슴이 아픕니다”라는 등 애도의 물결이 넘쳐나고 있다.
새정부는 김 할머니의 별세를 계기로 한일위안부 합의 문제에 대한 분명한 행동을 보여야 할 것이다.
kor_eaiinmedia
[리셋 코리아] 미·중 디커플링 충격 대비에 사활 걸어야
중앙일보 | 2017-07-24
kor_eaiinmedia
윤석열 이후 노골화한 `혐오·선동 정치`, 이걸 없애려면
오마이뉴스 | 2017-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