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국회 개원 ①문제는 국민신뢰] 최악 불신 기관 오명, 이번이 터닝포인트 기회](../images/bg_tmp.jpg)
[20대 국회 개원 ①문제는 국민신뢰] 최악 불신 기관 오명, 이번이 터닝포인트 기회
kor_eaiinmedia | 2016-06-13
이슬기 기자
이날 국회사무처가 고려대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와 민 컨설팅에 의뢰해 발간한 ‘국회불신 요인 분석 및 신뢰도 제고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국회는 지난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0년 연속으로 국내 주요 기관ㆍ집단 중 가장 낮은 신뢰도를 기록했다. 동아시아연구원이 우리 국민의 정치ㆍ사회 인식을 조사한 결과다. 특히 18대 국회 전반기(2009년) 2.6점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국회 신뢰도는 지난달 임기를 마친 19대 국회 시작 당시(2013년)까지도 3점대에 머무르며(3.6점) 지지부진을 면치 못했다. 같은 기간 ‘차악’의 평가를 받은 사법부 신뢰도(4.6점)보다도 1점이 낮은 수치다.
문제는 완만하게나마 상승곡선을 그리던 국회 신뢰도가 19대 국회 후반기부터 다시 하락하고 있다는 것이다. 세계가치조사 글로벌 네트워크가 한국에서 실시한 6차례의 제도신뢰 조사의 결과를 보면, 16대 국회 당시(2000~2004년) 10%에 불과했던 국회 신뢰도는 17대 국회에서 26%로 16%포인트 상승했다. 그러나 이 수치는 18대 국회를 거쳐 19대 국회 후반기로 들어가며 다시 25%로 하락(2010~2014년)한다. 세월호 참사 이후 151일간 이어진 국회 공전과 테러방지법 직권상정(심사기일 지정)으로 촉발된 필리버스터 정국 등이 국회불신을 키운 것이다.
김성수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지난 4ㆍ13 총선에서 주요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 방향이 드러났다”며 “향후 여야는 서로의 주장에 대해 일정 부분 동의(양보)를 해나가며 협치를 조절해야 하며, 단순히 ‘싸우지 않는 것’을 넘어, ‘싸우지 않으면서 성과를 내는’ 국회를 만들어야 20대 국회가 달라졌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
kor_eaiinmedia
[리셋 코리아] 미·중 디커플링 충격 대비에 사활 걸어야
중앙일보 | 2016-06-13
kor_eaiinmedia
윤석열 이후 노골화한 `혐오·선동 정치`, 이걸 없애려면
오마이뉴스 | 2016-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