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소후보 전락’ 안철수, 딜레마에 빠지다
kor_eaiinmedia | 2016-03-09
정한울 객원기자
2012년 총선과 대선정국을 흔들었던 안풍의 주역 안철수 의원이 위기다. 4년 전 총선 직전인 2012년 1월 조사만 해도 차기대선주자 지지율에서 안철수 의원은 박근혜 후보 26.
7%에 이어 23.6%의 지지를 얻으며 박근혜 대세론에 균열을 만들 정도로 안풍의 위력은 대단했다. 그러나 불과 4년이 지난 지금 4.13 총선을 앞두고 한국일보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하여 실시한 2016년 2월 조사(21-22일)에서 4.8%의 지지를 얻어 군소후보로 전락하고 있다. 반기문 21.5%, 문재인 12.6%는 물론 김무성 7.9%, 박원순 7.6%에도 미치지 못했다.
(1) 안철수 딜레마 : 안 지지자는 무당파(42.2%) 대 민주당 지지자(40.2%)로 반분
무당파는 여야 동시심판/독자노선 선호, 민주지 지지자는 정부/여당심판론 및 단일화 선호
2012년 대선 당시 선거정국을 흔든 소위 안풍의 진원지로 중도무당파층을 꼽는데 이는 반만 맞는 얘기다. 안철수 현상은 확실히 중도무당파층의 양당 정치에 대한 불신을 한 축으로 하되, 동시에 전통적인 야당지지층의 정권교체에 대한 열망이 다른 한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2012년 대선에서 안철수 지지층은 동아시아연구원 패널조사(8월) 기준으로 민주통합당 지지자(42.2%)와 무당파(40.2%)가 반반씩을 자리 잡았다. 반면 당시 문재인 지지층은 민주통합당 지지자가 과반(50.4%)을 구성한 반면 무당파는 28.9%에 불과했다. 오히려 통진당은 제3정당 지지자들이 17.4%로 지지율 열세를 보완하는 상황이었다.
(2) 안풍의 이탈 : 호남풍에 대한 의존과 오해, 수도권-2030의 이탈
안철수 의원에 대한 기대가 급격히 약화된 것은 탈당 및 창당 과정에서 호남의 반민주당 정서에 과도하게 기댄 탓도 크다. 탈당 초기 여론이 긍정적으로 반응한 것은 “강철수”를 내세워 기존 양당체제의 극복과 새정치에 올인하겠다는 입장을 명료하게 제시한 것이 주효했기 때문이다. 야당 지지층과 중도무당파층 사이에서 좌고우면하던 것과 달라진 모습이었다. 호남에서 국민의당 지지율이 2월 첫 주까지 25-30%를 오갈 정도로 선전했다.
호남의 여론이 호남의 배타적이고, 지역적 이익 실현만을 내세운 것은 아니라는 것은 호남정치를 명시적으로 내세운 천정배 신당이 1-2%의 낮은 지지율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점에서 확인된다. 호남지역은 야권의 결집을 통해 정부여당을 견제하기를 바라는 유권자 마음과 기존 여야정당을 모두를 극복하는 새정치에 대한 바람도 가장 강하다. 현재 전통적인 정권심판론(36%)과 여야동시심판론(30%)이 각각 다른 지역에 비해 가장 높았다. 19대 총선에서도 호남은 정권심판론 36%로 가장 높았고, 동시심판론은 43%로 이명박 정부에 대한 불신 컸던 대구 지역(47%) 다음으로 높은 지역이었다. 새정치와 정권견제의 대책이 빠진 호남정치의 강조만으로 현재의 지지율 하락을 극복하기 쉽지 않아 보인다.
국민의당 창당 이후 안풍의 위축은 안철수 의원 개인에 대한 지지기반 상실에서도 확인된다. 특히 2012년 총선과 대선 당시 안철수 현상을 이끌던 2030 세대에서 지지 하락은 치명적이다. 박근혜, 문재인, 안철수 후보 간의 대결이 최고조에 달했던 2012년 10월의 대선 지지도 조사에서 안 후보는 20대에서 47%로 25% 지지에 그친 문 후보나, 18% 지지에 그친 박근혜 후보를 압도했다. 30대에서는 34%의 지지를 얻어 31%의 문 후보, 27%의 박 후보에 우세를 보였다. 40대에서조차 28%의 지지를 얻어 박, 문 두 후보와 대등한 경쟁을 펼쳤다. 그러나 2월 21-22일 한국일보 조사에서는 다자대결 구도에서 20대에서 8%, 30대에서 4%에서 지지를 받았다. 20대에서 23%, 30대에서 19% 얻은 반기문 총장이나 20대에서 17%, 30대에서 20%의 지지를 받은 문재인 후보에 크게 뒤지고 있다. 새정치의 기대가 큰 2030세대에게 더 이상 희망의 아이콘이 아님을 보여준다.
반면 야당심판론자나 무입장층은 경제성장, 양극화 외에 국가안보나 정치개혁과 같은 아젠다를 최우선 과제로 꼽아 대체로 보수친화적 아젠다를 선호하고 있다. 양당 모두에 정치불신을 갖고 있는 동시심판론자들을 선거의 장으로 끌어들이고, 상반된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는 여당심판론과 여야심판론 지지자들의 연대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서로 공감대가 큰 경제이슈(경제양극화, 성장, 삶의 질 개선)를 전면에 내세우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이념적 주장이 아닌 실제 솔루션 차원의 대안 제시, 이를 이끌 대안세력으로서의 면모를 갖추는 것이 안풍 부활의 선행조건이다.
#
kor_eaiinmedia
[리셋 코리아] 미·중 디커플링 충격 대비에 사활 걸어야
중앙일보 | 2016-03-09
kor_eaiinmedia
윤석열 이후 노골화한 `혐오·선동 정치`, 이걸 없애려면
오마이뉴스 | 2016-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