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0대 청년층의 통일비관론에 제동 걸어야 할 때](../images/bg_tmp.jpg)
[사설] 20대 청년층의 통일비관론에 제동 걸어야 할 때
kor_eaiinmedia | 2016-01-19
동아시아연구원이 최근 통일부에 보고한 정책연구용역 ‘통일 인식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5월 국민 63.5%가 ‘통일은 해야 하지만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급적 빨리 해야 한다’(15.3%)거나 ‘굳이 할 필요가 없다’(17.2%)는 의견보다 훨씬 많았다. 이 조사에서 특히 눈에 띄는 것은 20대의 경우 ‘굳이 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이 30.2%로 타 연령층을 압도할 정도로 많다는 사실이다.
한반도 통일은 우리의 변함없는 숙원이다. 국가안보와 또 한번의 경제도약을 위한 필수요건이라 하겠다. 하지만 우리 국민의 대체적인 생각은 ‘신중론’에 기울어 있다. 동아시아연구원이 최근 통일부에 보고한 정책연구용역 ‘통일 인식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5월 국민 63.5%가 ‘통일은 해야 하지만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급적 빨리 해야 한다’(15.3%)거나 ‘굳이 할 필요가 없다’(17.2%)는 의견보다 훨씬 많았다. 이 조사에서 특히 눈에 띄는 것은 20대의 경우 ‘굳이 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이 30.2%로 타 연령층을 압도할 정도로 많다는 사실이다. 조사에선 또 박근혜 대통령의 통일대박론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사람이 2014년 6월 54.8%에서 지난해 5월 46.9%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의 감소 폭이 가장 커 45.6%에서 32.4%로 줄었다.
이 조사는 통일에 대한 국민 공감대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았음을 확연하게 보여준다. 정부가 대통령 직속으로 통일준비위원회까지 만들어 통일대박론을 확산시키고 있으나 전혀 먹혀들지 않는다는 사실도 확인된 셈이다. 특히 미래세대인 20대 청년층에 ‘통일비관론’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 크다. 경제성장 정체와 경기악화로 일자리조차 찾기 힘든 상황에서 통일을 생각할 겨를이 없다는 인식이 크게 작용했다고 본다. 어떤 이유로든 국민들 사이에 통일에 대한 냉소적 여론이 만연할 경우 정부가 통일정책을 펴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점에서 걱정이 아닐 수 없다.
통일에 대한 긍정적 여론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장기 경색 국면인 남북관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급선무다. 북한이 핵실험을 계속하고 한반도에 군사적 긴장이 지속되는 한 통일대박론은 위축될 수밖에 없다. 이런 분위기에선 정부의 통일 준비도 사실상 무의미하다. ‘통일’이라는 2층짜리 집을 지으려면 당연히 ‘남북관계 개선’이라는 1층부터 먼저 지어야 하지 않겠는가. 국민들이 북으로부터 안보 위협을 느낄 경우 통일 무관심도가 높아지는 건 당연하다. 정부가 주도적으로 북핵 문제에 대한 근본적 해법을 찾아 남북 화해협력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도 시급한 이유다.
청년층에 통일 필요성을 심어주기 위해서는 전무하다시피 한 학교 통일교육을 크게 강화해야 한다. 요즘 젊은이들에겐 남북분단과 6·25전쟁이 과거의 먼 ‘역사적 사실’로 인식되고 있다. 분단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가르쳐야 통일의 필요성을 분명하게 주입할 수 있다. 남북통일을 이뤄내야 영속적인 안보를 확보하고 경제 규모를 키울 수 있다는 점을 제대로 교육해야 할 시점이다.
kor_eaiinmedia
[리셋 코리아] 미·중 디커플링 충격 대비에 사활 걸어야
중앙일보 | 2016-01-19
kor_eaiinmedia
윤석열 이후 노골화한 `혐오·선동 정치`, 이걸 없애려면
오마이뉴스 | 2016-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