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Note

한국의 동아시아연구원(EAI)과 미국 시카고글로벌평의회, 중국 링디엔(零點) 연구컨설팅그룹, 일본 ‘언론 NPO’ 등 한·미·중·일 4개국 싱크탱크가 각각 자국에서 총 7천여 명(4개국 합계)을 상대로 실시해 20일 발표한 의식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경우 ‘파병’ 문제에 있어 47%가 찬성하고 49%는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찬성 47%’ ‘반대 49%’...62% “남북 평화통일 되면 주한미군 철수해야”

 

유사시 북한이 남한을 공격할 경우 ‘미군파병’ 여부에 대한 미국인들의 찬반이 팽팽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의 동아시아연구원(EAI)과 미국 시카고글로벌평의회, 중국 링디엔(零點) 연구컨설팅그룹, 일본 ‘언론 NPO’ 등 한·미·중·일 4개국 싱크탱크가 각각 자국에서 총 7천여 명(4개국 합계)을 상대로 실시해 20일 발표한 의식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경우 ‘파병’ 문제에 있어 47%가 찬성하고 49%는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국과 일본은 파병에 대한 찬성이 91.4%와 56.8%로 각각 나타난 반면 중국은 응답자 중 74.8%가 ‘파병반대’ 의사를 밝혀 주변국과 상반되는 입장을 나타냈다.

 

이 같은 반응과 관련, 의식조사 분석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는 이미 한국과 일본에 미군이 주둔중인 것을 고려 ‘추가 파병’을 아시아의 분쟁에 대한 군사적 개입의 확산으로 보고 거기에 따른 신중을 기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한반도 통일 후 한미 동맹관계 유지(주한미군 주둔)’와 관련해서도 미국인의 경우 ‘두어야 한다’는 32%, ‘동맹관계는 유지하되 주둔군은 두지 말아야 한다’는 44%, ‘동맹관계를 종료하고 주둔군은 철수해야 한다’에는 18%로 나타나 미국인 62%가 ‘남북이 평화통일 될 경우 주한미군이 철수해야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인들의 경우도 65.7%는 ‘필요없다’, 19.9%는 ‘필요하다’고 답해 ‘한미 동맹’을 바라보는 시각이 곱지 않음을 표명했다.

 

반면, 한국의 경우는 ‘필요하다’는 57.3%, ‘필요없다’는 31%가 답했으며, 일본인 역시 ‘필요하다’가 44.6%로 ‘필요없다’(28.4%)보다 많은 것으로 집계돼 한반도에서 미군의 역할이 중요함을 같이 인식했다.

 

아울러 ‘10년 후 아시아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과 관련해서는 한국인 80%, 일본인 60.3%, 미국인 52%가 ‘커질 것’이라고 응답했다.(Konas)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