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Note

커트 캠벨(사진) 전 미국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는 26일 북·중 관계에 대해 “그 어떤 (중국에 대한) 봉쇄보다도 중국의 국익에 더 큰 저해요인이 되는 게 북한이란 점을 중국도 점진적으로 이해하게 됐다”면서 “북한의 도발이 중국의 전략적 이해에 부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고 있으며, 중국도 이런 것을 인식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캠벨 ‘한반도국제포럼’ 특별강연
“통일시나리오 협의 中도 포함을”

 

커트 캠벨(사진) 전 미국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는 26일 북·중 관계에 대해 “그 어떤 (중국에 대한) 봉쇄보다도 중국의 국익에 더 큰 저해요인이 되는 게 북한이란 점을 중국도 점진적으로 이해하게 됐다”면서 “북한의 도발이 중국의 전략적 이해에 부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고 있으며, 중국도 이런 것을 인식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캠벨 전 차관보는 이날 통일부와 동아시아연구원 주최로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2014 한반도국제포럼’ 특별강연에서 “후진타오 주석과 원자바오 총리 시절 고위직을 맡았던 한 중국 인사가 최근 시진핑 주석의 방한을 보면서 내게 ‘우리가 두 한국 중에 편을 잘못 든 것 같다’고 말하기도 했다”며 “이런 것이 중국 정권의 전략적 시각에 스며든 것 같다”고 진단했다. 남북을 바라보는 중국의 시각 변화를 우회적으로 언급한 것이다.

 

켐벨 전 차관보는 한반도 통일에 대해서는 “‘하나의 중국’(원칙)과 같이 국가가 하나로 통합돼서 계속 유지돼야 한다는 개념은 한반도에도 그대로 적용돼 하나의 한국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북한 내) 난민 발생이나 대량살상무기 확산 가능성, 군인들이 국경을 넘게 될 때의 외교적 문제 등에 대한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면서 “북한의 미래와 통일 시나리오 협의에 더 많은 국가가 참여해야 하고 여기에는 중국도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북핵 문제와 관련해 6자회담보다 작은 규모의 협의체 필요성도 언급했다.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