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Note

커트 캠벨 전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오늘(26일) 한국의 통일부 등이 주최한 국제포럼에서 6자회담 재개도 필요하지만 그보다 작은 규모의 새로운 협의체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커트 캠벨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자료사진)

 

커트 캠벨 전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오늘(26일) 한국의 통일부 등이 주최한 국제포럼에서 6자회담 재개도 필요하지만 그보다 작은 규모의 새로운 협의체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커트 캠벨 전 미국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는 국제사회가 그동안 북한 문제에 있어 성공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북한의 핵 문제와 함께 북한 내부 상황에 접근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캠벨 전 차관보] "I’d love to see the 6 party talks begin again…"

 

캠벨 전 차관보는 이를 위해 6자회담 재개도 필요하지만, 6자회담보다 작은 규모의 새로운 협의체가 더 필요하다며 그래야만 북한과 분명한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캠벨 전 차관보는 26일 한국의 통일부와 동아시아연구원 (EAI) 주최로 열린 한반도 국제포럼 특별강연에서 이 같이 말하고 다만 북한이 또 다시 심각한 도발에 나선다면 보다 강력한 제재에 직면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캠벨 전 차관보는 지난 5년 간 북한에 취해진 여러 가지 경제제재는 북한에겐 큰 압박이었을 것이라면서도 그 수위는 미얀마나 이란에 대한 제재보다 약한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습니다.

 

캠벨 전 차관보는 이와 함께 북한의 도발은 중국의 국익과 전략적 이해에도 부합하지 않는 일이라며, 중국 정부 역시 이를 잘 인식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캠벨 전 차관보] " there is a former Chinese government official served …"

 

캠벨 전 차관보는 중국의 전직 고위 인사가 최근 시진핑 주석의 방한을 두고 ‘중국이 두 한국 중에 편을 잘 못 든 것 같다’는 얘기를 했다며, 이런 인식은 중국의 전략적 시각에도 스며든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

 

이와 함께 중국이 외교의 중심철학으로 ‘하나의 중국(One China)’ 개념을 내세운 것처럼, 한반도 통일에서도 ‘하나의 한국 (One Korea)’ 개념이 적용돼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북한의 미래와 통일 시나리오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중국을 비롯해 더 많은 국가가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캠벨 전 차관보는 한국과 중국 간의 긍정적인 외교관계는 지난 10년 간 아시아에 있어 가장 고무적인 일이라며 한국이 주도해 중국의 외교정책을 변화시켰으면 한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은지입니다.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