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Note

커트 캠벨 전 미국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는 26일 "6자회담 재개도 필요하지만, 더 필요한 것은 그보다 작은 규모의 협의체"라면서 "그래야만 북한과 분명한 메시지를 주고받으면서 대화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캠벨 전 차관보는 이날 통일부와 동아시아연구원 주최로 서울의 한 호텔에서 열린 '2014 한반도국제포럼' 특별강연에서 "북한과 대화도 진행해야 한다. 북한이 완전 고립됐다는 느낌을 갖게 해선 안될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커트 캠벨 전 미국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 (연합뉴스 자료사진)

 

"완전 고립 느낌 北에 줘선 안돼…대화도 진행해야"

"中, 北이 국익저해 인지…통일논의, 더 많은 국가 참여해야"

 

커트 캠벨 전 미국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는 26일 "6자회담 재개도 필요하지만, 더 필요한 것은 그보다 작은 규모의 협의체"라면서 "그래야만 북한과 분명한 메시지를 주고받으면서 대화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캠벨 전 차관보는 이날 통일부와 동아시아연구원 주최로 서울의 한 호텔에서 열린 '2014 한반도국제포럼' 특별강연에서 "북한과 대화도 진행해야 한다. 북한이 완전 고립됐다는 느낌을 갖게 해선 안될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해 "우선 북한 문제에 있어서 (그동안) 성공하지 못했다고 인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도 지적했다.

 

그는 또 "그 어떤 (중국에 대한) 봉쇄보다도 중국의 국익에 더 크게 저해가 되는 게 북한이란 점을 중국도 점진적으로 이해하게 됐다"면서 "북한의 도발이 중국의 전략적 이해에 부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고 있고 중국도 이런 것을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후진타오 주석과 원자바오 총리 시절 고위직을 맡았던 한 중국 인사가 최근 시진핑 주석의 방한을 보면서 내게 '우리가 두 한국 중에 편을 잘못 든 것 같다'고 말하기도 했다"며 "이런 것이 중국 정권의 전략적 시각에 스며든 것 같다"고 진단했다.

 

그는 한반도 통일 문제와 관련, "'하나의 중국'(원칙)과 같이 국가가 하나로 통합돼서 계속 유지돼야 한다는 개념은 한반도에도 그대로 적용돼야 한다"면서 "일반적으로 봤을 때 하나의 한국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그는 "미래에 어떤 어려움을 겪게 될 수 있을지 가정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난민 발생이나 대량살상무기 확산 가능성, 군인들이 국경을 넘게 될 때의 외교적 문제 등에 대한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면서 "북한의 미래와 통일 시나리오 협의에 더 많은 국가가 참여해야 하고 중국도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캠벨 전 차관보는 이어 한중관계와 관련, "한국과 중국 간의 긍정적 외교관계는 굉장히 고무적으로, 아시아에 있어서 지난 10년간 가장 고무적인 것"이라면서 "한국에 바란다면 한국이 주도해서 중국의 외교정책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그는 "한일관계가 현재 좋지 않다는 것을 미국도 안타깝게 생각하지만 이에 관여해선 안 된다는 입장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역사문제라는 것은 존재하고, 이런 시각의 차이가 계속 존재하는 것은 일본뿐만 아니라 전체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면서 "어떤 사람은 역사는 역사가에 맡기고 미래를 추구하자고 얘기하지만 이것은 가능한 접근이 아니다. 궁극적으로 이런 문제는 해결돼야 할 것이고, 미국은 조용한 방식으로 일본 측에 이런 문제를 잘 해결했으면 좋겠다는 얘기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