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기의 새정치연합… 리더십·책임·반성·비전 ‘전무(全無) 야당’
kor_eaiinmedia | 2014-09-15
구혜영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 겸 원내대표(53)가 15일 이틀째 잠적 상태다. 휴대폰 연락도 끊었다. 박 위원장 거취 문제가 탈당설로까지 번지면서 당은 하루종일 대책 마련에 분주했다.
새정치연합이 존폐를 걱정해야 할 만큼 유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제1야당’ 스스로 자초한 위기란 점에서 상황은 더 심각하다. 리더십, 책임, 반성, 신뢰, 집권 비전 등 국민 지지를 받을 어떤 대안도 없는 ‘전무(全無) 야당’의 모습이다.
새정치연합은 지난 3월 창당 이후 치러진 두 차례 선거 모두 완패했다. 지난 대선과 총선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일시적인 지도부 사퇴에 그쳤을 뿐 패인 분석은 ‘집토끼 대 산토끼’라는 진영 논리를 넘지는 못했다.
야합 공천, 인적 청산 실패 등은 다음 선거에서 고스란히 재연됐고, ‘패배→성찰 부재’라는 헛바퀴를 되풀이했다. 지지율이 바닥을 쳐도 ‘어차피 선거는 51 대 49’라는 환상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반성도 책임도 사라진 정당은 어디서도 신뢰받을 수 없었다. 새정치연합은 계파 갈등의 ‘막장’만 드러냈다. 7·30 재·보선 패배 이후 들어선 ‘박영선 비대위’ 체제라고 다르지 않았다. 외부 비대위원장 영입 무산 과정이 적나라하게 보여줬다. 일부에선 위원장 사퇴를 촉구하는 ‘연판장’을 돌리고, 박 위원장은 탈당 카드로 맞섰다.
패권적 ‘나눠먹기’ 구도가 때만 되면 등장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수순이다. 이번에도 계파 수장들이 나서서 사태를 봉합했다. 원내 관계자는 “계파 힘을 빌리지 않으면 할 몫이 없다. 그러니 정당한 당내 의사결정 구조가 만들어질 리가 없다”고 말했다. 박영선 체제는 한 달여 동안 당내 골간 조직조차 구성하지 못했다. 등 돌린 여론은 새정치연합을 지지율 ‘10%대’ 정당으로 끌어내렸다.
무능, 정치력 부재는 제1야당 상징어가 됐다. 박 위원장은 두 번의 세월호특별법 합의안 모두 추인받는 데 실패했다. 새누리당을 상대로 최소한의 진상규명 방안도 끌어내지 못했다. 지난해 국가정보원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회의록 유출 정국만 해도 시종일관 새누리당에 밀리며 ‘10 대 0’ 완패로 끝났다.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김윤철 교수는 “반대와 반사이익에만 매달린 결과”라고 분석했다.
리더십도 실종됐다. 잦은 지도부 교체로 남은 것은 오로지 당내 지분을 둘러싼 다툼뿐이다. 당 대표보다 계파 수장을 따르는 문화가 당연해졌다.
동아시아연구원 여론분석센터 정한울 부소장은 “지도자급 인물들은 훈련된 리더로 성장할 수 없고 위기 때 정치적 생명을 거는 지도자도 없다”고 비판했다.
kor_eaiinmedia
[리셋 코리아] 미·중 디커플링 충격 대비에 사활 걸어야
중앙일보 | 2014-09-15
kor_eaiinmedia
윤석열 이후 노골화한 `혐오·선동 정치`, 이걸 없애려면
오마이뉴스 | 2014-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