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Note

선거에서 구도와 이슈, 후보는 승패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구도’다. 우리 편과 상대 편을 나누는 것을 일컫는다.

선거에서 구도와 이슈, 후보는 승패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구도’다. 우리 편과 상대 편을 나누는 것을 일컫는다.

 

최근까지 6·4지방선거는 새누리당, 민주당, 새정치연합(가칭) 등 ‘3자 대결 구도’로 전개돼 왔다. 하지만 야권이 ‘통합신당’으로 뭉치면서 ‘양자 대결 구도’로 판이 재편됐다. 여야의 새판짜기가 불가피해지면서 치열한 수싸움이 시작된 셈이다.

 

◇‘거짓정치’대 ‘야합연대’…與野 치열한 수싸움 돌입

 

지난 2일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전격적인 ‘통합’ 결정 이후, 여권과 야권은 연일 난타전을 벌이고 있다. 4일에도 여야는 상대방을 향해 거센 비판을 퍼부었다.

 

난타전 속에는 오는 6·4지방선거를 앞두고 상대방을 일정한 이미지로 가두어 두려는 ‘선거 구도’가 작동하고 있다.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를 고리삼아 뭉친 야권은 ‘거짓정치 대 새정치’를 내세웠다. 새누리당을 ‘약속을 지키지 않은 정당’으로 규정해 선거전을 치르겠다는 복안이다. 이에 맞선 새누리당은 ‘야합연대’라는 프레임을 제시하고 나섰다.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결합을 ‘승리만을 위해 결합한 추악한 작태’로 몰아세우겠다는 전략이다.

 

◇ “통합 정당 어렵고, 야합론도 옹색”…“야권층 결집 유인은 될 것”

 

전문가들은 그러나 이 같은 프레임 전쟁이 별 효과는 없을 것으로 본다. 여야 모두 상대방이 짜놓은 구도에 대해 반박할 수 있는 논리가 충분하기 때문이다.

 

김미현 알앤서치 소장은 “안철수 쪽에서는 ‘연대를 안 하겠다’고 약속했는데 어긴 부분이 있고, 새누리당 입장에서도 (야권의 통합을 야합이라고 공격하지만)지난 대선 때 선진당과의 합당이 있었다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한울 동아시아연구원 사무국장도 “(야당이 신당창당의 명분으로 내세우는)기초공천폐지는 국민들에게는 큰 개혁 요구는 아니라는 점에서 통합의 명분을 정당화 하는 건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다만 윤희웅 여론분석센터장은 “야권성향 층은 새누리당에 대한 견제 정서가 더 강하기 때문에 (야합론으로) 결집을 제약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Major Project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