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Note

박근혜 대통령은 14일 최근 미국의 아태전략과 일본의 집단자위권 등으로 신냉전구도가 펼쳐지고 있는 것과 관련해 “동북아의 갈등과 대립은 어디까지나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 핵문제와 중일간의 갈등이 아시아적 패러독스”

 

박근혜 대통령은 14일 최근 미국의 아태전략과 일본의 집단자위권 등으로 신냉전구도가 펼쳐지고 있는 것과 관련해 “동북아의 갈등과 대립은 어디까지나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초동 국립외교원 청사에서 열린 ‘국립외교원 설립 5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에 참석해 이같이 말하고 “20세기 중반까지 있었던 바와 같이 군사적 수단이 동원되는 일이 이 지역에서 다시는 있어서는 안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박 대통령은 “우리는 서로의 정책의도를 투명하게 하고 국가간의 신뢰를 조성하는 다양한 조치들을 통해 군사적 분쟁의 발생가능성을 예방해야 할 것”이라며 “그렇게 동북아의 축적된 협력문화는 당면한 북핵 문제를 포함한 안보위협을 해결하는데 중요한 동인일 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동북아와 한반도정세와 관련해 북한 핵개발과 중국과 일본의 갈등을 ‘아시아적 패러독스’로 지목했다. 그는 “지금 이 순간에도 역내에서는 긴장이 멈추지 않고 있다. 군사적 충돌의 위험성도 상존한다. 먼저 한반도의 분단이 70년 가까이 지속되는 가운데 북한은 핵개발을 계속하며 긴장을 유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역내 국가간 역사관의 괴리로 인한 불신과 일부 영토문제를 둘러싼 충돌의 소지도 커지고 있다. 이는 분명 아시아적 패러독스인 상황”이라며 “우리는 이 시점에서 잠재적인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동북아를 신뢰와 협력의 장으로 만들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제가 제안해온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은 역내 국가들이 작지만 의미있는 협력부터 시작하여 서로 믿을 수 있는 관행을 축적하고 이러한 협력의 관행을 확산시켜 불신과 대립을 완화하자는 것”이라며 “지난 9개월 동안 많은 국가 정상들로부터 환영 표명 등 적지 않은 국제적 지지를 얻는 성과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동북아 평화협력을 위해 동북아는 활짝 열린 개방된 공간이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동북아만의 리그가 아니며 세계 속의 동북아가 돼야 한다. 세계와 함께 땀 흘리고 세계의 평화의 발전에 기여하는 동북아가 돼야 한다. 그것은 동북아가 지속 성장해내가는 비결이기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마들렌 올브라이트 전 미 국무장관, 푸잉 전 중국 외교부부장, 마에하라 세이지 전 일본 외무상, 수린 핏수완 전 태국 외교장관, 크누트 폴레벡 전 노르웨이 외교장관을 포함하여, 윤병세 외교장관, 하영선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 윤덕민 국립외교원장 등 국내외 인사, 주한외교사절단, 유관기관 연구원 및 학생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