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Note

박근혜 대통령은 27일 향후 대북정책과 관련, "앞으로 정부는 남북관계의 비정상적인 관행을 바로잡고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통해 상식과 국제규범에 맞는 정상적인 남북관계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국가안보자문단 1차회의 개최 "최근 남북관계 다소 진전"

 

박근혜 대통령은 27일 향후 대북정책과 관련, "앞으로 정부는 남북관계의 비정상적인 관행을 바로잡고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통해 상식과 국제규범에 맞는 정상적인 남북관계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국가안보자문단 1차 회의에서 "최근에 남북관계가 다소 진전을 보이고 있는데 이제 서로 간에 신뢰를 쌓아가서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새 정부가 해야 할 소명이라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새 정부는 외교안보 분야와 관련해서 한반도에 평화를 이루고, 자유롭고 행복한 한반도, 인류 발전에 기여하는 새로운 한반도를 만들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신뢰외교와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외교안보와 대북정책의 핵심으로 삼고 있다"며 "그동안 한반도 주변의 모든 지도자들이 바뀌고 북한의 핵실험과 개성공단 사태 등 여러 어려움이 많았지만 원칙을 지키면서 일관된 정책을 추진해 왔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북핵문제와 관련해선 "지난 10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핵개발은 여전히 진행되고 있고,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와 세계평화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며 "저는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이 되는 올바른 변화를 선택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강인덕 극동문제연구소장, 이인호 아산정책연구소 이사장, 김재창 한국국방안보포럼 총재, 이숙종 동아시아연구원장, 김석우 21세기 국가발전연구원장, 정종욱 동아대 석좌교수, 황병무 전 국방대 안보문제연구소장, 하영선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 윤덕민 국립외교원장, 박용옥 평안남도 도지사 등 국가안보자문위원 10명이 참석했다.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