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Note

박근혜 대통령은 27일 “평화통일의 기반을 구축해 나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이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가 바로 북한 핵문제”라고 말했다. 국가안보자문단 첫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다.

박 대통령, 안보자문단 첫 회의

DMZ 평화공원 조성 논의 위해

참석자들, 대북특사 파견 건의

 

박근혜 대통령이 27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1차 국가안보자문단회의에 참석하며 하영선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박 대통령, 정종욱 동아대 석좌교수, 하 이사장. [청와대사진기자단]

박근혜 대통령은 27일 “평화통일의 기반을 구축해 나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이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가 바로 북한 핵문제”라고 말했다. 국가안보자문단 첫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다. 박 대통령은 그러면서 “앞으로 정부는 남북관계의 비정상적인 관행을 바로잡고,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통해 상식과 국제규범에 맞는 정상적인 남북관계를 만들어가겠다”고도 했다.

 

박 대통령은 또 “오늘(27일)은 북핵 문제해결을 위한 6자회담이 시작된 지 10년이 되는 날”이라며 “지난 10년의 노력에도 북한의 핵개발은 여전히 진행되고 있고,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와 세계평화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저는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이 되는 올바른 변화를 선택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강인덕 전 통일부 장관, 이인호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 황병무 전 국방대 안보문제연구소장, 정종욱 동아대 석좌교수, 김재창 한국국방안보포럼 총재, 박용옥 평안남도 지사, 김석우 21세기 국가발전연구원장, 하영선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 이숙종 동아시아연구원장, 윤덕민 국립외교원장 등 자문위원 10명이 모두 참석했다.

 

박 대통령은 “국내용인지, 국제용인지는 모르지만 북한이 만약 도발을 할 경우 불이익을 주겠다는 우리의 태도는 분명하다”며 “우리가 대응해 불이익을 준다는 것을 예측가능하도록 하면 북한의 도발 이유는 몰라도 자기들의 도발 결과에 대해서는 예측가능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고 한 참석자가 전했다. 회의에선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대한 대화가 주를 이뤘다고 한다. 이와 관련, 박 대통령은 단순히 6자회담 같은 회의를 하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북한이 핵을 포기하겠다는 진정성이 있고 이를 보여줘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참석자들은 박 대통령이 8·15 경축사에서 제안한 비무장지대(DMZ) 평화공원 조성 문제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선 “평화공원은 좋은 아이디어다. 남북 간에 무력을 사용하지 않겠다는 합의를 해야 하고 남북기본합의서(1992년)에 있는 DMZ의 평화적 이용 문제와 엮어서 가야 한다”며 “이를 위해 특사파견을 해야 한다”는 건의도 나왔다고 한다.

 

다른 한 참석자는 “박 대통령은 ‘대북정책이 상식과 국제규범에 맞는 새로운 남북관계를 만들어야 하지 않나’고도 했다”며 “중국과 정상회담에서 ‘시진핑 주석이 북한 문제에 대해 우리와 공조할 의지를 많이 보였다’고 박 대통령이 말했는데 그 대목이 인상적이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