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Note

26, 27일 서울에서 개최되는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서 북핵 문제가 논의 될 수 있을까? 이에 대해 정식의제는 아니지만 6자회담 관련국 정상들이 다 참석하기에 이 문제를 논의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도 솔솔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전문가들 조심스레 전망... "정식의제 아니지만 양자ㆍ다자회담서 북핵문제 논의 가능"

 

26, 27일 서울에서 개최되는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서 북핵 문제가 논의 될 수 있을까? 이에 대해 정식의제는 아니지만 6자회담 관련국 정상들이 다 참석하기에 이 문제를 논의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도 솔솔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북핵문제 논의에 있어서도 이번 서울 핵안보정상회의가 또 하나의 의미 있는 '모멘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다.

 

북핵 자체가 핵안보정상회의의 정식 의제로 채택되지는 않았지만, 한반도를 무대로 열리는 정상회의인 만큼 북핵문제도 어떤 형태로든 다뤄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이 회의를 준비하고 있는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이 말하고 있는 58명의 국가 정상과 국제기구 수장들이 서울에서 핵을 주제로 논의하는 것 자체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지지하는 국제사회의 단합된 메시지가 될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는 데서도 엿볼 수 있는 대목으로 풀이된다.

 

특히 핵안보정상회의는 고농축우라늄(HEU)과 플루토늄 등 핵물질 사용의 최소화를 추구하는 자리이므로 북한에도 이러한 물질들을 포기하라는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다는 것이다.

 

외교가 안팎에서도 이번 핵안보정상회의를 북핵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주의를 환기하고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는 계기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상현 외교통상부 정책기획관은 지난 2월 동아시아연구원이 발간한 '글로벌 거버넌스와 핵안보정상회의' 보고서에서 "핵안보정상회의가 한국에서 개최되는 것은 한반도가 핵 비확산 문제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상징으로 부각된다는 의미를 갖는다"면서 "이번 회의에서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추가적인 모멘텀을 확보하는 것은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전성훈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지난 8일 서울 가락동 가락호텔에서 열린 국제외교안보포럼에서 이번 정상회의와 관련해 "핵 테러는 영화나 소설에서나 나오는 얘기가 아닌 현실의 문제다"며 "북한핵문제 해결과는 별개의 회의지만 6자회담 참가국 정상들도 모이는 만큼 별도의 회의로 적절하게 논의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konas)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