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MB심판론' 반격 나섰으나...
kor_eaiinmedia | 2012-02-20
정웅재기자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이 20일 "현재의 야당이 새누리당의 심판 주체라고 보지 않는다"라며 야권의 정권심판론에 대한 반격에 나섰다.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연일 민주통합당의 '한미FTA 말바꾸기'를 비판하면서 야당의 정권심판론에 맞불을 놓고 있다.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이 20일 "현재의 야당이 새누리당의 심판 주체라고 보지 않는다"라며
야권의 정권심판론에 대한 반격에 나섰다.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연일 민주통합당의 '한미FTA 말바꾸기'를 비판하면서 야당의 정권심판론에 맞불을 놓고 있다.
20일 방송기자클럽 토론회에서는 "그 분들 스스로 자신을 폐족이라고 부를 정도로 국민의 심판을 받은 분들인데 그 분들이 다시 모여 지난 정권에서 추진했던 정책에 대해 계속 말을 바꾸는 것이야말로 심판의 대상"이라며 "현재의 야당이 새누리당의 심판 주체라고 보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지난주 "여당일 때는 국익을 위해 FTA를 추진한다고 하고 야당이 되자 정반대 주장을 하고 이제는 선거에서 이기면 FTA를 폐기하겠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나라를 맡길 수 없다"고 한 것의 연장선에서 나온 발언이다.
"보수층 결집 효과, 정권심판 구도 바꿀 수는 없을 것"
대통령의 임기말에 치러지는 총선의 기본 구도는 '정권심판'이 될 수밖에 없다. 이때문에 새누리당에서는 얼마전까지만 해도 야당의 '정권심판론' 공세에 맞설 마땅한 총선 카드가 없어 고심하는 눈치였다. 더 이상 권력 내부에서 추가 비리 등의 악재만 터지지 않아도 다행이라는 분위기까지 있었다.
자칫하면 야당의 정권심판론 공세에 무력하게 당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박 위원장이 야당의 '한미FTA 재협상, 폐기' 주장을 역이용해 분위기 반전을 꾀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한미FTA는 노무현 정부때 처음 추진됐고, 현재 민주통합당 지도부 인사들 대부분이 당시 여권의 고위관계자로 한미FTA 추진에 찬성했다는 점을 부각하면서 야당을 공격하고 있다.
박 위원장의 공세는 선거판세에 어떤 효과가 있을까?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권력비리 등으로 이탈한 보수층을 결집하는 효과는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하지만 "임기말에 치러지는 선거의 기본틀인 '정권심판' 구도를 바꿀 수는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희웅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조사분석실장은 "보수층의 (MB정부와 새누리당에 대한) 지지가 이완되고 이탈하던 차에 보수층을 결집시킬 수 있는 소재를 획득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여당에서는 (한미FTA) 쟁점화에 유혹을 느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나 "대통령 임기 말 치러지는 선거여서 '여당 고전, 야당 선전'이라는 기본틀을 뒤바꾸지는 못할 것 같다"라고 덧붙였다.
정한울 동아시아연구원 여론분석센터 부소장도 "(새누리당의 한미FTA 이슈 제기는 집권여당으로부터) 이탈한 보수층을 결집하면서 지지율을 끌어올리는 요인이 될 수 있지만, (MB와의) 수세적 차별화나 한미FTA 공세만으로 (새누리당이) 정국 주도권을 잡을 수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 부소장은 "강도높은 제살깍기와 대대적인 인적쇄신이 있어야 MB심판론에서 탈피할 여지가 생길 것"이라며 "결국 야권의 한미FTA 관련한 단일한 대응전략 마련 및 후보단일화, 여당의 인적쇄신 폭 등이 총선 방향을 결정하는 변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kor_eaiinmedia
李는 "셰셰" 金은 "핵기술 갖자"…또 섣부른 외교 애드리브
중앙일보 | 2012-02-20
kor_eaiinmedia
새 대통령, 취임 동시 `외교 전면전`…"中 압박 동참할 건가" 질문 받아든다
중앙일보 | 2012-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