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Note

13일 오후 서울 국도호텔에서는 동아시아연구원(원장 이숙종 성균관대 교수) 주최로 '글로벌 거버넌스와 핵안보정상회의' 보고서 발간 기념 콘퍼런스가 열렸다. 보고서는 오는 3월26~27일 개최되는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와 관련해 주요국의 핵안보 정책 분석과 한국의 바람직한 핵안보 정책에 대한 각계 전문가들의 제언을 담았다.

사진은지난해 12월 16일 오전 명동에서 열린 '2012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D-100기념 대국민

참여 행사에서 시민이 평화의 메시지를 붙이고 있는 모습(자료사진)

 

동아시아연구원 개최 콘퍼런스.."핵안보ㆍ안전 연계해야"

 

13일 오후 서울 국도호텔에서는 동아시아연구원(원장 이숙종 성균관대 교수) 주최로 '글로벌 거버넌스와 핵안보정상회의' 보고서 발간 기념 콘퍼런스가 열렸다.

 

보고서는 오는 3월26~27일 개최되는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와 관련해 주요국의 핵안보 정책 분석과 한국의 바람직한 핵안보 정책에 대한 각계 전문가들의 제언을 담았다.

 

콘퍼런스 참석자들은 서울 핵안보정상회의가 제1차 워싱턴 정상회의의 기본 주제였던 핵테러 대응, 핵물질 및 핵시설 방호, 핵물질 불법거래 등을 충실히 다루면서도 논의 지평을 확대해 핵안보 규범을 보다 견고하게 짜나가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지난해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 국제사회의 주요 이슈가 된 원자력 안전과 관련해 이번 회의에서 핵안보와 원자력 안전의 연계가 심도있게 논의돼야 한다는 의견이 잇따랐다.

 

전진호 광운대 국제협력학부 교수는 "이번 회의에서는 1차 회의의 중심 의제였던 '핵물질 안보'보다 포괄적인 개념의 '핵안보'로 의제를 확대해 후쿠시마 사고 이후의 변화를 반영해야 한다"면서 "정상회의 결과문서인 '서울 코뮈니케'에 원자력 안전 관련 국제협력과 지역협력 방안을 포함시킨다면 이는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의 주요 성과로 기록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이번 회의를 북핵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주의를 환기하고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는 계기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상현 외교통상부 정책기획관은 "핵안보정상회의가 한국에서 개최되는 것은 한반도가 핵 비확산 문제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상징으로 부각된다는 의미를 갖는다"면서 "이번 회의에서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추가적인 모멘텀을 확보하는 것은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김성배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도 "핵안보정상회의의 성격상 북핵문제가 핵심 의제가 되기는 어렵지만, 북한의 핵기술 역시 외부로 이전될 수 있으며 북한의 핵시설도 안전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면서 "이번 회의에는 북한을 제외한 6자회담 참가국 정상들이 모두 참가하는 만큼 별도의 양자, 다자회담을 통해 북핵문제를 심도있게 논의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