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공공외교포럼 개최, 공공외교 강화의 다양한 방안 쏟아져
kor_eaiinmedia | 2011-07-13
이우승기자
한국국제교류재단(이사장 김병국)이 민주당 신낙균 국회의원실, 동아시아연구원(원장 이숙종)과 공동 주관으로 13일 한국공공외교포럼(KPDF)을 개최했다. ‘21세기 한국의 Soft Power와 공공외교’라는 주제로 1세션에는 동아시아소프트파워의이론과 실제, 2세션에는 한국의 문화외교 강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과 관련, 참석자들의 발제와 토론이 이어졌다.
한국국제교류재단(이사장 김병국)이 민주당 신낙균 국회의원실, 동아시아연구원(원장 이숙종)과 공동 주관으로 13일 한국공공외교포럼(KPDF)을 개최했다.
‘21세기 한국의 Soft Power와 공공외교’라는 주제로 1세션에는 동아시아소프트파워의이론과 실제, 2세션에는 한국의 문화외교 강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과 관련, 참석자들의 발제와 토론이 이어졌다. 한국의 공공외교에 대한 조망과 발전방향 모색을 위해 활발한 의견 개진이 이루어졌다. 이숙종 원장을 비롯해 고려대 정외과의 이신화, 이용욱 교수가 주제 발표를 했다. 또 2세션 한국의 문화외교 강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에서는 신종호 연구위원(경기개발연구원)이 ‘문화외교강화의 필요성과 제도화 방안’를 주제로 발제했다. 신 연구위원은 이날 발표에서 “한국의 이미지와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문화외교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려면 총괄기구 설치와 전담대사 임명 등을 내용으로 한 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 연구위원은 “정부가 주체가 돼 타국 대중을 대상으로 한 외교의 한 부문을 문화외교라고 규정한 뒤 세계화 정보화의 시대에 문화외교는
정치·안보외교, 경제통상외교와 함께 각국 대외정책의 핵심 축으로 부상했다”고 밝혔다.
각 세션의 토론자로는 김상배 교수(서울대 정치외교학부), 최강교수(외교안보연구원), 한인택 연구위원(제주평화연구원)과 김동기 심의관(외교부 문화외교국), 유현석교수(경희대 정외과), 이희옥교수(성균관대 정외과)가 참석했다. 한편 공공외교포럼은 지난해 외교통상부와 국제교류재단이 공공외교의 전략적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공동으로 창설해 한·미 관계의 공공외교 심포지엄, 공공외교 거버넌스 간담회 등을 개최한 바 있다.
kor_eaiinmedia
李는 "셰셰" 金은 "핵기술 갖자"…또 섣부른 외교 애드리브
중앙일보 | 2011-07-13
kor_eaiinmedia
새 대통령, 취임 동시 `외교 전면전`…"中 압박 동참할 건가" 질문 받아든다
중앙일보 | 2011-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