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獨 대통령 발언 소환
"한반도문제, 미중이 긴밀하게 협력할 불씨 제공"
"불통의 北 대화로 나오는데 中 역할 절실"

권영세 통일부 장관은 10일 한국 미국 중국의 삼각관계와 관련해 냉전 당시 미국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소련과도 좋은 관계를 유지한 서독의 외교를 참조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 장관은 그러면서 "미국과 중국 간의 경쟁과 갈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한반도 문제는 (미중) 양국이 긴밀히 협력할 수 있는 불씨를 제공한다고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만이 아니라 중국과의 관계도 우호적으로 관리해 북한 핵 문제를 둘러싼 미중 협력을 끌어내야 함으로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권 장관은 이날 동아시아연구원 주최 '2023 Global NK' 국제회의 축사에서 "원고에 준비되지 않은 몇 가지 단상"이라며, "우리가 미국과 중국과의 관계, 서울과 베이징과 워싱턴 간의 삼각관계를 어떻게 형성하느냐 하는 부분"과 관련해 냉전 당시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서독 대통령의 발언을 소개했다.

권 장관은 "바이츠제커 전 대통령이 서독 외교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동맹을 아주 튼튼하게 해서 자유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고, 또 확보된 자유 공간을 바탕으로 소련과의 좋은 관계를 유지해 나가는 것이라고 했다"며, "우리 대한민국 상황하고도 상당히 관련이 있다"고 지적했다.

권 장관은 "냉전 상황에서 (서독이) 미국과 소련의 관계에서 양쪽을 관리해야 하는 부분이 쉽지는 않았겠지만, 바이츠제커 류의 생각들이 미국과 소련과의 관계를 잘 가져와서 궁극적으로는 통일까지 이룰 수 있지 않았나한다"고 말했다.

권 장관은 북한의 핵능력 고도화와 관련해 "불통의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나오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어느 때 보다도 국제사회의 일치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특히 북한이 많이 의존하고 있는 중국의 역할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권 장관은 미중 경쟁 속에 한반도 문제가 오히려 양국 협력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런 의미에서 한국 정부 또한 한반도 문제를 통해 미·중·간의 협력을 견인해 나가면서, 한반도 나아가 인도 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이끌어내도록 노력 하겠다"고 밝혔다.

Major Project

Keywords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