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Note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지구촌에 몰고온 변화의 키워드 가운데 하나가 소프트파워다. 군사력이나 경제제재 등의 물리적 힘인 하드파워와는 대비되는 표현이다. 이라크와 전쟁을 벌인 조지 W 부시 대통령에 대한 염증으로 오바마가 당선됐고, 기저에는 소프트파워가 깔려 있다. 강제력보다는 매력을 통해, 명령이 아닌 자발적 동의로 얻어지는 힘이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지구촌에 몰고온 변화의 키워드 가운데 하나가 소프트파워다. 군사력이나 경제제재 등의 물리적 힘인 하드파워와는 대비되는 표현이다. 이라크와 전쟁을 벌인 조지 W 부시 대통령에 대한 염증으로 오바마가 당선됐고, 기저에는 소프트파워가 깔려 있다. 강제력보다는 매력을 통해, 명령이 아닌 자발적 동의로 얻어지는 힘이다.

 

오바마 차기 행정부는 무력보다는 소프트파워와 대화로 미국과 세계질서를 재편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프트파워 개념을 도입한 조지프 나이 하버드대 교수는 “소프트 파워를 이해하는 오바마 정부가 훨씬 더 효율적인 대외정책을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라크에서 철군하고 북한·이란과 적극적인 대화에 나서리라는 관측도 소프트파워에서 비롯된다.

 

소프트파워라는 개념은 1994년 국무부의 ‘미국 국가안보 전략’에서 처음 나왔다. 미국이 소프트파워 시대 도래를 예고한 지 14년만에 본격적인 소프트파워시대가 개막되는 것이다. 소프트파워의 대표적인 예로 문화가 꼽힌다. 프랑스의 문화 예술의 나라라는 이미지, 우리의 한류가 여기에 해당된다.88서울올림픽이나 2008베이징 올림픽도 소프트파워의 하나다.

 

중국은 아시아·아프리카·중남미 국가에 외교관과 기술자를 보내 공자연구소를 만들고, 친중세력을 키우고 있다. 이런 게 소프트파워다. 일단은 소프트파워를 강화하면서 일정기간 흐른 뒤 하드웨어로 무게중심을 옮겨갈 것으로 국제문제 전문가들은 예의주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소프트파워를 집중적으로 키워 군사·경제력의 하드웨어와 접목해 상승효과를 가져오는 스마트파워라는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올 들어 ‘소프트파워가 강한 창조문화국가’라는 기치를 내걸고 콘텐츠·문화예술·스포츠·관광을 핵심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고 나서 그나마 다행이다.


박정현 논설위원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