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2 대선 평가와 노무현 정부의 과제
단행본 | 2003-01-14
이내영ㆍ이근ㆍ정원칠
이 책은 한국 사회의 각 분야를 대표하는 교수, 박사, 공무원, 연구원, 기업 임원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 약 2,000 명을 모집단으로 해서 실시된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다. 그리고 설문조사 참여 전문가들이 100-300자 정도의 생생한 논평들을 싣고 있다. 이를 통해 김대중 정부 최종 평가 및 2002 대선 후보와 선거 결과를 분석하고 새 정부의 추진 과제를 제시하였다. 전문가들의 안목과 식견을 설문조사 형식으로 정리한 이 책을 통해 노무현 정부가 성공한 정보로 기록되길 기대해 본다.
목차
요약문
이 책의 발간을 축하하며 (김세원 : 서울대 교수)
이 책의 발간에 부쳐 (김병국 : EAI 원장)
서문
제 1 장 이 책의 목적과 방법
왜 이 책을 내는가
어떻게 만들었나 : 2,000여 전문가 참여 설문조사
이 책의 구성
제 2 장 김대중 정부 최종 평가
총괄 평가 : 역대 정권비교와 이념성향
잘한 분야와 못한 분야
국정 운영에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
임기 중 지지도 변화와 총평
전문가 12인의 김대중 정부 최종 평가 논평
제 3 장 2002년 대선 후보 평가 : 노무현, 이회창, 권영길
대통령에게 요구되는 자질
총괄 및 신뢰성 평가
이념 성향
대선 후보들의 주요 공약 내용
분야별 공약 및 수행 능력 평가
분야별 평가 종합
대선 후보 공약 총평과 2002 대선 결과의 해석
전문가 37인의 후보에 대한 논평
제 4 장 2002 대선 결과 분석과 새 정부에의 시사
2002년 대선 정국의 주요 경과
대선 결과
대선 결과 현상 분석
노무현 승리 전략 및 원인 분석
2002년 대선의 특징과 의미
요약 및 새 정부에 주는 시사점
전문가 69인의 2002 대선 후보들에게 하고 싶은 말
제 5 장 노무현 정부의 과제 : 총괄 부문
역점 분야와 정책 과제
국정 운영과 개혁 전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및 개혁 성공 가능성
요약 : "통합을 통한 도약"
전문가 63인의 새 정부의 성격 규정과 이름 붙이기
제 6 장 9대 분야별 김대중 정부 평가와 노무현 정부의 과제
정치·행정 분야
통일·외교 분야
과학기술 분야
경제 분야
노동 분야
보건복지·환경 분야
교육 분야
여성 분야
문화 분야
요약
각 분야 전문가 253인이 새 정부에게 바란다
부록
한국일보 2003년 1월 17일, 기사 "새 정부 개혁과제 전문가들에게 물어보니" 에서
노무현(盧武鉉) 당선자의 새 정부가 가장 비중을 두어야 할 개혁 과제는 민생 안정 중심의 경제난 해결과 남북 관계 개선 등 통일ㆍ외교 정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공교육 정상화와 부정부패 척결도 우선 순위가 높은 개혁 대상으로 꼽혔다. 이를 위해 새 정부는 강력한 리더십을 확립하고 공정하게 인재를 등용해 집권 초기에 개혁을 강력히 추진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저자
이내영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부교수, EAI 정치사회 여론조사 센터 소장.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미국 위스콘신(메디슨)대 정치학 박사, 세종연구소 연구위원과 경희대 국제대학원 교수 역임.
저작 : 변혁기의 세계질서와 한반도, 세대와 정치이념, A Comparative Study of Regionalism in East Asia and the Americas 등.
이근
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EAI 경제추격과 기업전략연구 센터 소장.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미국 캘리포니아(버클리)대 경제학 박사, 미국 하와이대 동서문화센터 연구위원 및 영국 애버딘 대 조교수 역임.
저작 : 한국인을 위한 경제학, 중국의 기업과 경제, 지식정보 혁명과 한국의 신산업 등.
정원칠
EAI 연구원. 중앙대 행정학 석사. 반부패특위, 아산문화재단, 서울대연구처 외 다수 연구 프로젝트 참여, 이슈투데이 편집국 기자 역임.
저작 : 정부이미지 측정 및 비교에 관한 실증적 연구, 가상공간을 통한 새로운 인간상 적립가능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우리나라 보훈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등.